• Skip to content
  • Skip to secondary menu
  • Skip to primary sidebar
  • Skip to footer

ㅍㅍㅅㅅ

필자와 독자의 경계가 없는 이슈 큐레이팅 매거진

  • Home
  • 스타트업
    • 마케팅
    • 투자
  • 시사
    • 경제
    • 국제
    • 군사
    • 사회
    • 언론
    • 역사
    • 정치
    • 종교
  • 문화
    • 게임
    • 교육
    • 덕후
    • 만화
    • 스포츠
    • 애니
    • 연예
    • 영화
    • 인문
    • 음악
    • 책
    • 학문
  • 테크
    • IT
    • SNS
    • 개발
    • 공학
    • 과학
    • 디자인
    • 의학
    • 환경
  • 생활
    • 건강
    • 부모
    • 성인
    • 여행
    • 영어
    • 음식
    • 패션
  • 특집
    • 개드립
    • 인터뷰
  • 전체글

퇴사나 이직이 하고 싶다면 “샐러던트”가 되어보자

2021년 3월 11일 by 로키

나는 우선 샐러던트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거 아닙니다 © annapelzer, 출처 Unsplash

사실, 샐러던트란 단어를 처음 들었을 때는 샐러드 먹는 사람들의 줄임말인 줄 알았다. 분명 나같이 신조어나 줄임말에 약한 사람들이 있을 테지. 그래서 정의를 찾아봤다.

샐러던트(Saladent) = 샐러리맨(Salary person)+학생(Student)

‘공부하는 직장인’을 의미하는 신조어로, 직장에 몸담고 있으면서 새로운 분야를 공부하거나 자신이 종사하는 분야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지속적으로 공부하는 사람들을 가리킨다. 지속적인 자기계발을 뜻한다.

  • 출처: 두산백과

“하루의 8시간 이상을 직장에서 보내는데 창업준비나 이직할 시간이 어딨어? 그냥 퇴사할래!”라는 말을 외치며 몸부터 앞서는 분들이 있다면, 사직원은 잠시 임시저장해 두고 이 글을 봐주셨으면 좋겠다.

© StartupStockPhotos, 출처 Pixabay

퇴사하기 전에는 회사만 나오면 24시간은 온전히 내 것이 될 것 같았고, 하루에 10시간 이상 내가 하고 싶은 일에 몰입할 것 같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오히려 잡다한 일들로 더 바빠지거나 아무것도 하지 않고 빈둥대다가 하루하루를 의미 없이 보내기 마련이다.

  • 출처 : 책 『창업, 직장에서 시작하라』

 

1. 출퇴근을 하는 회사는 게으름을 퇴치해 주는 최고의 시간 관리 학교이다

적어도 3개월 이상 근무한 직장인이라면, 싫든 좋든 새벽에 일어나 씻고 출근을 한다. 그리고 퇴근을 하고 내일 출근을 위해 잠에 든다. 하지만 주말권에 돌입하면 금요일, 토요일을 어떻게 보내나? 다음 날 출근을 안 한다고 생각하니 좀 더 늦게 자고 좀 더 늦게 일어난다. 연차나 오전 반차를 쓴 날도 마찬가지다.

누군가는 이것을 ‘의지’의 문제라고 이야기할 것이다. 하지만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습관’의 문제다. 예를 들어 우리가 아침에 가장 먼저 하는 일은 스마트폰부터 찾는 것이다. 대단한 의지를 가지고 하는 행동이 아니다. 반복된 행동으로 형성된 습관에서 비롯된 것이다. 『창업, 직장에서 시작하라』라는 책에서도 아래와 같이 습관에 대해 강조하고 있다.

나는 왜 퇴사하고 더 준비가 안 되는지 생각해봤다. 그 이유는 습관이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직장을 다니면서 하루에 1시간이라도 내 미래를 위한 준비를 해보지 않았던 사람이 갑자기 24시간이 주어진다고 활용할 수 있을까?

나는 수험생활을 오래 한 습관 덕분인지, 회사 내 인간관계가 힘들어 퇴근 후 돌파구로 찾은 건지 모르겠지만 퇴근 후 공부를 습관처럼 만들어 왔다. 왜 나이 들어 선택해서 하는 공부는 집중도 잘 되고 재미있는지 모르겠다. 그러다 연장선으로 직장 내에서도 틈틈이 공부하는 방법을 터득했다.

샐러던트 로키의 영어 회화 노트

영어 회화를 잘하고 싶어서 퇴근 후 영어학원을 다녔고, 스터디에 참여했다. 이를 나만의 아이폰 메모장에 적어두고 출근해서 엘리베이터를 기다리거나 시간이 날 때 틈틈이 보면서 누적 복습을 해나갔다. 이런 일련의 노력들로 해외파도 아닌데 현재 해외팀에서 수출업무를 할 수 있는 기회까지 이어졌다.

물론 처음부터 무리해서 습관도 안 만들어졌는데 달리는 것보단, 무리하지 않고 딱 1시간 만이라도 해보는 것! 그게 가장 중요하다. 평소에 배우고 싶었던 외국어라든지 전문 분야 자격증을 따기 위해 온라인 강의를 들어도 좋다. 언제나 그렇듯 항상 실천이 답이다.

 

2. 직장인 “프로 딴짓러”가 알려주는 회사에서 (티 안 내고) 하기 좋은 공부 BEST 4

회사마다 조금씩 분위기가 다르겠지만, 나는 회사 시스템으로 기록되는 업무 시간 외에 철저하게 딴짓을 하고있다.

출근을 조금 일찍 한다면 교통체증에서 벗어나 여유로운 마음으로 하루를 시작할 수 있다. 자연스럽게 회사 내에서도 이미지 관리가 될 수 있다. 이렇게 업무 시간으로 카운트되지 않는 시간들을 조각내서 각 시간별로 알맞은 딴짓 활동을 해나가면 된다.

샐러던트 로키의 신문 스크랩 노트

점심시간에는 독서를 하기도 하고, 매일경제 칼럼을 프린트해서 생각을 적어 스크랩 노트도 만든다. 가급적 집중해서 업무시간에 업무를 끝내고, 쉬는시간들을 조각내서 사용하는 것이다. 만약 업무 중에 아이디어가 떠오른다면 나와의 카톡으로 보내놓고 집에 가서 노트에 정리한다.

뭐야, 그럼 회사 일은 엉망진창이겠네?

이렇게 생각하는 분들도 샐러던트로 인도하기 위해, 부끄럽지만 작년 연말 평가자료를 공개해본다.

왼쪽은 목표고 오른쪽은 수행실적이다. 수출 관련 정정 건수 441건 중 나로 인한 귀책 1건으로, 큰 이슈가 없었다. 고난이도 신용장 네고 과정이나 정정 하자로 인한 회사 관리비 손실도 없었고, 반품 관련해서도 모두 0건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딴짓을 이렇게 하면서도 일에 지장이 없게 관리할 수 있었을까?

 

3. 디지로그(디지털+아날로그)식 업무 스케줄 관리로 꼼꼼하게 관리한다.

사실 샐러던트는 회사 안에서 최대한 에너지를 소모하지 않아야 한다. 그래서 무조건 칼퇴를 해야 한다. 그렇다면 어떨 때 회사에서 스트레스를 가장 크게 받는가? 바로 깨질 때다. 우리는 깨지지 않아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업무할 때 더욱더 실수가 없어야 한다.

내가 다니는 회사의 한 가지 아쉬운 점은, 스페셜리스트가 아니라 제널리스트를 키운다는 것이다. 순환 보직 제도다. 나는 공대를 졸업했는데, 재작년에 무역 업무를 시작하게 되었다. 무역 관련 자격증을 바로 취득할 수도 없고, 어떻게 일을 배웠을까?

일단, 업무 인수인계를 받으면서 교육 노트를 만들었다. 이때 직접 내 손으로 해보면서 최대한 빠르게(일주일 권장) 내 것으로 만들었다. 남이 만들어 준 걸 보는 게 아니라 내가 직접 써 보고 만들어야 효과가 있다.

익숙한 업무를 하는 부서로 옮길 수 없다면, 상황을 최대한 빠르게 받아들이고 업무를 흉내라도 낼 줄 알아야 선임한테 질문하느라 눈칫밥 안 먹을 수 있다. 매도 빨리 맞는 게 낫다고, 일주일만 참고 늦게까지 남아서라도 내 것으로 만든다. 그리고 그 이후는 다시 샐러던트의 삶으로 돌아가면 된다.

샐러던트 로키의 업무 교육 노트

하지만 업무가 익숙한 수준으로 올라와도 사람은 실수를 하기 마련이다. 실수를 줄이기 위해서, 나는 어느 부서를 가던지 나만의 업무 일지 노트를 만든다.

샐러던트 로키의 업무일지 노트

머리를 쓰거나 깊게 생각할 필요 없이 직관적으로 구분할 수 있게, 나만의 관리번호로 구분한다. 매칭해서 업무 상태별로 색깔 분류도 해 놓는다. 사실 이전까지 3명이 분담해서 맡았던 업무인 만큼 양이 무척 방대하다. 그래서 폴더 분류도 손에 익도록 잘 분류해두었다.

수출업무다 보니 국내 업무보다 부담이 컸다. 내가 스케줄을 놓치거나 서류 마감 일자를 깜박하고 통관을 안 하면 회사 비용 부담이 아주 커진다. 그걸 방지하고자 엑셀 업무일지(디지털) 외에도 수기로 적어 스케줄을 관리하는 달력 업무일지(아날로그)도 같이 병행한다.

샐러던트 로키의 아날로그 업무일지 노트

이렇게 회사 일은 직관적으로 돌아가게끔 세팅해 두고, 남은 시간은 최대한 딴짓을 하고 보낸다. 이 딴짓은 퇴근 후에도 다른 형태의 딴짓으로 이어간다.

이렇게 샐러던트로 하루하루 알차게 보내면서 자기계발을 습관으로 만드는 것이 퇴사나 이직 또는 창업을 앞둔 사람에게 무엇보다 가장 필요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원문: 로키의 브런치


함께 읽으면 좋은 글

  • 퇴사를 말리는 부모님 설득하는 법
  • 퇴사 전 반드시 해야 할 일 4가지
  • 퇴사를 꿈꾸는 직장인들이 퇴근 후 할 일

Filed Under: 스타트업

필자 로키 twitter

평범한 대기업 회사원입니다. 로키라는 부캐로 다양한 경험을 기꺼이 즐기며 쌓아가고 있습니다.
본업을 유지하면서 자아실현을 할 수 있는 성장 모델을 지속적으로 찾고 경험과 노하우를 사람들에게 나누어줍니다.
끊임없는 배움을 통한 자기계발과 자기관리에 관심이 많습니다.

Primary Sidebar

SPONSORED

RECOMMENDED

Footer

ㅍㅍㅅㅅ

등록번호: 서울, 아03293
등록일자: 2014년 8월 18일
제호: ㅍㅍㅅㅅ
발행인: 이승환
편집인: 이승환
주소: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69 12층
발행일자: 2014년 8월 18일
전화번호: 010-2494-1884
청소년보호책임자: 이승환
Privacy Policy

Copyright © 2025 · Magazine Pro on Genesis Framework · WordPress · Log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