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으로 국한해 보자. 무엇을 위해 살며, 어떻게 살 것인가? 신고전주의 주류경제학은 경제학과 학생들에게 어떻게든 이 질문을 외면하게 만든다. 경제학을 오래 연구하면서 가만히 들여다보면 신고전주의 경제학의 궁극적 목적은 사람들로부터 이 질문을 던지지 못하게 하도록 기획되었다. 무엇을 위해 사는가? 이 질문을 명시적으로 던지지 않지만 신고전주의 경제학의 교과서와 연구모델에서 이미 답은 주어져 있다. 철학적으로는 ‘쾌락’, 그리고 ‘공리’(성공과 이익)이며, 경제학 교과서에서 그것들은 … [Read more...] about 일본상품 불매운동은 민족주의적 광기인가?
경제
이 사람은 1,000배로 돈 벌 기회를 놓쳤다
나는 이기적일까, 이타적일까? 왜 인간이 이기적으로 행동하는지 밝혀낸 놀라운 실험이 있다. 실험은 다음과 같다. 10명을 한 그룹으로 묶어 한 사람당 10달러씩 지급한다. 참가자들은 10달러를 챙겨도 되고 프로젝트에 기부할 수도 있다. 참가자가 프로젝트에 1달러를 쓰면 연구자가 2배로 늘려준다. 2배로 불어난 돈은 10명에게 똑같이 나눠준다. 즉 한 사람이 10달러를 기부하면 모두가 2달러씩 나눠 받는 셈이다. 모두가 기부하면 … [Read more...] about 이 사람은 1,000배로 돈 벌 기회를 놓쳤다
걸그룹 협찬 의상 가격 비교: 옷값이 가장 비싼 그룹은?
명품 옷이 모든 것을 말해주는 것은 아니지만, 협찬 의상의 가치는 연예인의 인기나 몸값을 가늠할 지표가 되기도 합니다. 밸류챔피언에서 흔히 국내 3대 엔터테인먼트로 꼽히는 SM, JYP, YG의 걸그룹 레드벨벳, 트와이스, 블랙핑크의 뮤직비디오를 기준으로 협찬 의상 가치에 순위를 매겨보니 블랙핑크가 압도적 1위로 고가 의상 협찬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걸그룹 협찬 의상의 비용과 그 의미를 생각해 보았습니다. 협찬 의상 가격 비교 가장 비싼 … [Read more...] about 걸그룹 협찬 의상 가격 비교: 옷값이 가장 비싼 그룹은?
[중국 온라인 플랫폼의 현황과 도전] ② 중국 이커머스 강자 속 성장하는 플랫폼
※ 「① 마윈 vs. 왕젠린, 170억 내기 승자는?」에서 이어집니다. 차별화된 강점으로 성공한 플랫폼 티엔마오(天猫), 징동, 웨이핀후이 등으로 견고한 이 시장에서 자신이 가진 차별화된 요소를 내세워 자신만의 입지를 강화한 플랫폼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쥐메이(聚美)가 뷰티 영역에서, 요호가 신발로, 스쿠가 명품 위주 품목으로 자신만의 시장을 구축한다. 그중 최근 패션에서는 샤오홍슈와 모구지에와 같은 소셜커머스가 기존의 강자 플랫폼이 가지지 못한 경쟁력으로 시장에서 두각을 … [Read more...] about [중국 온라인 플랫폼의 현황과 도전] ② 중국 이커머스 강자 속 성장하는 플랫폼
SK텔레콤: 국내 최대 통신업체에 숨은 투자 기회
통신업계 점유율 40%를 자랑하는 SK텔레콤은 명실상부한 국내 최대의 통신업체로, 투자의 측면에서 봤을 때는 지루한 회사로 보일 수도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나름 성숙한 시장이고 통신 3사 모두 통신요금과 보조금으로 경쟁해 주가가 침체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밸류챔피언 분석 결과, SK텔레콤은 향후 수년 내에 투자자들에게 큰 밸류를 가져다줄 대변화의 기로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복잡한 지배구조 속에 숨겨진 투자 가치 국내 통신 시장의 몇몇 경쟁사와는 달리, … [Read more...] about SK텔레콤: 국내 최대 통신업체에 숨은 투자 기회
[중국 온라인 플랫폼의 현황과 도전] ① 마윈 vs. 왕젠린, 170억 내기 승자는?
2012년 중국 온·오프라인의 두 거물인 완다 그룹의 왕젠린 회장과 알리바바 그룹의 마윈 회장이 세기의 내기를 하며 큰 화제가 됐다. 마윈이 2020년까지 온라인 쇼핑 비중이 전체 시장의 50%를 넘을 것이라고 장담을 했고, 만약 넘지 못하면 왕젠린 회장에게 1억 위안(약 170억)을 주기로 한 것이다. 아직 2020년까지 1년 6개월여가 남았지만 2018년 온라인의 매출 비중이 약 20%이고, 최근 평균 성장률이 20% 좌우임을 감안할 때 마윈의 완패라고 볼 수 있을 것 같다. 하지만 … [Read more...] about [중국 온라인 플랫폼의 현황과 도전] ① 마윈 vs. 왕젠린, 170억 내기 승자는?
왜 유상원조를 반대하는가?
「왜 유상원조가 필요한가」를 다룬 글 이후, 유상이고 무상이고 간에 원조 자체가 없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한 질문이 왔다. 페이스북 댓글로 단 대답은 공간 제약 때문에 너무 짧아서 여기에 보충 설명을 겸한 답을 제시한다. Q. 유상원조까지 없애야 한다? 김용빈 소장님, 무상원조와 비교해 유상원조의 필요성에 대해 설명해주신 글을 잘 읽었습니다. 그렇다면 소장님께서는 이러한 유상원조의 특성을 고려하고서도 유상원조를 반대하는 입장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유상원조는 금융 … [Read more...] about 왜 유상원조를 반대하는가?
바나나 시장에서 배워야 할 투자 교훈
※ Novel Investor의 「Investing Lessons from the Banana Business」를 번역한 글입니다. 바나나를 산업적 규모로 생산하기 시작한 시점은 1860년대였다. 바나나 산업은 말 그대로 시간과의 싸움이었다. 항구에 항구로 얼마나 빠르게 썩지 않게 운송하느냐에 수익이 달려 있었다. 항해 기간이 길어지면 모든 걸 날리는 사업이었다. 하지만 첫 번째 기업이 생겨나자마자 곧 다른 기업들이 뒤따랐다. 1890년대 후반이 되자, 바나나 시장은 호황을 … [Read more...] about 바나나 시장에서 배워야 할 투자 교훈
연애 평균 비용: 좋든 싫든 싱글이기에 절약 가능한 실제 금액은?
만 50세까지 결혼하지 않은 사람의 비율을 뜻하는 생애미혼율은 2000년 남성 1.6%, 여성 1.3%에서 2015년 남성 10.9%, 여성 5.0%로 급등했습니다. 유사히 13세 이상 국민 중 결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자의 비율은 2010년 64.7%에서 2018년 48.1%로 하락했습니다. 이렇듯 예전보다 진지한 이성 교제가 어려워지는 추세입니다. 생김새, 능력, 성격보다는 시대 탓으로 인해 싱글의 수가 늘 수밖에 없는 오늘, 데이트 비용 지출이 없는 솔로들은 매년 얼마의 절약이 가능한지 … [Read more...] about 연애 평균 비용: 좋든 싫든 싱글이기에 절약 가능한 실제 금액은?
7,700억 규모의 성장이 예상되는 공유오피스 시장, 어떻게 진화하고 있을까?
외연의 확장을 넘어 내실을 다지는 공유오피스 시장 공유오피스 시장이 새롭게 진화하고 있다. 국내 공유오피스의 시장 규모는 약 600억 정도로 추산되지만 2022년에는 7,700억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한다(Normal Scenario 기반, KT 추정). 늘어나는 시장 규모를 반증하듯 최근 3년간 공유 오피스 운영사 수가 크게 증가했으며, 대형업체들의 경우 급격하게 지점 수와 점유 면적을 확장 중이다. 서울 지역 사무실 임대 시장의 규모는 연간 35조 원 이상으로 추산된다. … [Read more...] about 7,700억 규모의 성장이 예상되는 공유오피스 시장, 어떻게 진화하고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