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all Street Journal에 Steven Russolillo가 기고한 「Amazon’s IPO at 20: That Amazing Return You Didn’t Earn」를 번역한 글입니다. 지난 8월 7일 아마존 상장 20주년이 되었다. 아마존의 주식 차트를 보면 이 인터넷 거인의 지배력이 어느 정도인지 알 수 있다. 아마존의 주가는 주식 분할 조정 기준으로 2달러 밑에서 지난 금요일 961.35달러의 종가로 마감했다. 상장 첫날 종가로 아마존 주식을 매수해 연평균 … [Read more...] about 아마존 상장 20주년: 누가 그 엄청난 수익을 챙겼을까
경제
남미 최고 부국이었던 베네수엘라에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는가?
※ 이 글은 WORLD ECONOMIC FORUM의 「Venezuela was once South America's richest country. Here's what went wrong」을 번역한 글입니다. 최근까지 베네수엘라의 도시 상류층과 지식층 거의 대부분은 깨끗한 물을 마실 수 있었고, 병원에 다닐 수 있었으며, 전기를 사용할 수 있었다. 베네수엘라는 부유한 나라였다. 세계에서 가장 많은 화석 연료 매장량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현재 베네수엘라의 경제는 … [Read more...] about 남미 최고 부국이었던 베네수엘라에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는가?
군대식 기업 경영의 종말
오늘은 그동안 우리나라의 경제 성장을 이끌어왔던, 하지만 이제는 성장의 발목을 잡고 있는 군대식 기업 경영의 장단점과 종말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한다. 1. 왜 군대식 경영이 탄생했나? 먼저 이 글을 쓰게 된 계기는 크게 2가지이다.『한국인은 미쳤다!』라는 책을 읽고, 롯데그룹 경영권 분쟁 사태가 떠올랐기 때문이다. 『한국인은 미쳤다!』는 LG전자 프랑스 법인에서 영업본부장, 그리고 법인장을 맡아 10년 동안 근무했던 에릭이라는 프랑스인이 쓴 책인데, 한국 기업들이 세계 시장에서 … [Read more...] about 군대식 기업 경영의 종말
우리가 다음 세대의 삶을 너무 힘들게 만들었습니다
※ The New York Times에 Steven Rattner가 기고한 「We’re Making Life Too Hard for Millennials」을 번역한 글이다. 사실 여기서 다루는 종류의 글도 아니고 미국에 대한 얘기지만 한국도 통계의 경향이 크게 다를 것 같지는 않아 전문을 번역했다. MBC ‘마이 리틀 텔레비전’에서 종이접기 아저씨 김영만 씨가 “직장 만들어 주세요”라는 말에 “어른 입장에서 죄송합니다. 정말 미안해요”라고 했던 일이 생각난다. 김영만 씨의 뭉클한 이야기와는 … [Read more...] about 우리가 다음 세대의 삶을 너무 힘들게 만들었습니다
대기업 vs. 스타트업
스타트업 업계에 종사하시는 분들을 만나 보면 대기업에 대해 양면적인 말을 하십니다. 대기업 다녀서 좋겠다. 대기업 안 무섭다. 이 말을 하나로 합쳐 보면 "개인에겐 복지, 급여 등에 있어서 안정적이고 좋은 환경인데 회사 자체는 경직된 구조와 비효율로 인해 일을 잘하지는 못 한다"는 말로 종합됩니다. 제가 잠깐이나마 스타트업 업계에 나와 본 소감은 이렇습니다. 일하는 목적이 다를 뿐 효율이나 성취도 면에서 본질적인 역량의 차이는 없습니다. 대기업과 스타트업의 … [Read more...] about 대기업 vs. 스타트업
당신이 지금 창업하면 안 되는 7가지 이유
대한민국은 지금 창업 열풍에 휩싸여 있습니다. 해마다 100만 명에 가까운 사람들이 새로운 사업자를 내고 80만 명이 폐업신고를 하는 나라, 햄버거 체인점 맥도널드의 전 세계 매장을 합친 것보다 치킨집 매장 숫자(3만 6,000개)가 더 많은 나라, 그런데 커피전문점(4만 8,121개)은 치킨집보다 더 많은 나라, 겉으로는 화려해 보이지만 보이지 않는 치열한 경쟁에 무방비상태로 뛰어들게 됨을 경고하지 않는 나라. 자신의 이익을 위해 도와주겠다고 나서는 사람은 많지만 실패를 책임지는 사람은 … [Read more...] about 당신이 지금 창업하면 안 되는 7가지 이유
‘주주 가치 극대화’에 대하여
※ Pragmatic Capitalism의 「Let’s Talk About “Maximizing Shareholder Value”」를 번역한 글입니다. 최근 주주 가치 극대화(maximizing shareholder value)라는 말이 뉴스에 자주 등장한다. 주주 가치 극대화는 일반적으로 자유 시장 자본주의와 관련된 생각으로 기업의 주된 경영 목적은 주주 가치 창출을 극대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논쟁의 여지가 없는 것처럼 보일지 모르지만 이런 사고방식을 가진 기업이 경영진에게 과도한 … [Read more...] about ‘주주 가치 극대화’에 대하여
스타트업 펀딩에 관한 흔한 5가지 조언과 그 진실
1. 돈을 친척에게라도 빌려라? “창업하면서 돈 없어요? 자기 돈도 안 들어가면서, 어떻게 남의 돈 투자를 받으려고 해요! 친척한테라도 빌려서 넣으세요.” : 아니다. 창업자는 값으로 말할 수 없는 자기 인생을 '현물'로 넣는다. 또한 아무나 등 떠민다고 창업자가 되지 않기에 창업자는 한 국가에 한정된 '유한자원'이다. 그러므로 창업자를 신용불량자로 만들 강요는 하지 않는 것이 좋겠다. 일에 매진하게 만들려면 일보다 가족을 먼저 챙겨줘야 한다. 나는 굶어도 되지만 가족이 굶으면 칼 … [Read more...] about 스타트업 펀딩에 관한 흔한 5가지 조언과 그 진실
모든 사람들이 강남 아파트에 살 수는 없다
강남 아파트 값 이대로 둬선 안 된다는 기사들이 올라온다. 그래서 찾아봤다. 2015년 인구주택 총조사 기준으로 전국 주택 수 16,367,006호, 이 중 아파트는 9,806,062호, 서울 아파트는 1,636,896호다. 전국 주택의 10%가 서울 아파트다. 서울 아파트 중 강남 아파트는 133,127호, 서초 아파트는 90,084호, 송파 아파트는 111,685호로 강남 3구 아파트는 총 334,896호다. 전국 주택의 약 2%가 강남 3구 아파트다. 아직은(?) 고소득이라는 … [Read more...] about 모든 사람들이 강남 아파트에 살 수는 없다
살아남기 위해서는 금에 투자해라
※ 이 글은 Seeking Alpha에 기고된 David Luo의 「Gold Falling In Tandem With The Dollar - Bet On Gold To Survive」를 허락 하에 번역한 글입니다. 요약 뜻밖에도 강세를 보인 NFP 수치는 달러 가치를 크게 상향시키지 못했고, GLD를 억제하지도 않았다. 이자율 인상과 양적 긴축에 대한 담화는 달러화의 상승을 유도하지 못했고 채권과 금의 가치 상승을 막았을 뿐이다. 금 매매업자들은 지나치게 위축된 … [Read more...] about 살아남기 위해서는 금에 투자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