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ip to content
  • Skip to secondary menu
  • Skip to primary sidebar
  • Skip to footer

ㅍㅍㅅㅅ

필자와 독자의 경계가 없는 이슈 큐레이팅 매거진

  • Home
  • 스타트업
    • 마케팅
    • 투자
  • 시사
    • 경제
    • 국제
    • 군사
    • 사회
    • 언론
    • 역사
    • 정치
    • 종교
  • 문화
    • 게임
    • 교육
    • 덕후
    • 만화
    • 스포츠
    • 애니
    • 연예
    • 영화
    • 인문
    • 음악
    • 책
    • 학문
  • 테크
    • IT
    • SNS
    • 개발
    • 공학
    • 과학
    • 디자인
    • 의학
    • 환경
  • 생활
    • 건강
    • 부모
    • 성인
    • 여행
    • 영어
    • 음식
    • 패션
  • 특집
    • 개드립
    • 인터뷰
  • 전체글

테크

‘8퍼센트’ 이효진 대표 인터뷰

2015년 9월 17일 by 리승환

‘8퍼센트’ 이효진 대표 인터뷰

0. 첫 만남 “3억 2천.” 이효진 대표가 외쳤다. 이 3억 2천은 어떤 의미일까? 그것은 '8퍼센트'를 통해 개인들로부터 돈을 빌리고 있는 '쏘카'의 현장이었다. 쏘카… 현재 대한민국에서 가장 핫한 스타트업, 아니… 이제는 스타트업이라 부를 수조차 없는 대기업이다. 그 대기업이 왜 8퍼센트를 사용하고 있는 것일까? 그것은 어떤 서비스인가. 이효진. 그녀는 지금 대한민국에서 가장 주목 받는 여성 리더로 알려져 있다. 아마 올해 말에는 유명 경제지의 주목해야 할 여성 리더 … [Read more...] about ‘8퍼센트’ 이효진 대표 인터뷰

트위터가 바로잡아야 하는 5가지 문제

2015년 9월 8일 by 윤지만

트위터가 바로잡아야 하는 5가지 문제

※역자 주: 트위터가 위기라는 얘기는 기술 뉴스에 크게 관심이 없는 사람도 한 번쯤은 들어봤음직 한 얘기다. 최근에 트위터의 위기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글들이 제법 많이 나오는 편인데, 가장 최근에 사람들에게 널리 읽힌 글 두 개가 있다. 1)하나는 Eugene Wei가 쓴 140자 제한과 과거의 제약 사항들을 없애야 한다는 내용의 글이고, 2)다른 하나는 Startup L. Jackson이 트위터엔 큰 문제가 없다는 요지로 쓴 글이다. 이 논란에 Dustin Curtis가 말을 보탰다. … [Read more...] about 트위터가 바로잡아야 하는 5가지 문제

기업과 유명인을 위기로 몰아놓은 대표적 오보 TOP 7

2015년 9월 8일 by 리승환

기업과 유명인을 위기로 몰아놓은 대표적 오보 TOP 7

많은 기업들이 제품의 하자나 오너의 잘못된 행동으로 구설수에 오른다. 하지만 개중에는 실제 사실과 다른 사실로 피해를 보는 기업이나 유명인도 적지 않다. 이런 잘못된 위험한 사례를 모아 봤다.   1. 억울한 쓰레기 만두 소동 대통령을 통해 4대 악(…)으로까지 지정된 ‘불량식품’만 해도 억울한 게 참 많다. 한국 식약청은 기준이 굉장히 까다로워 문제가 될만한 식품을 시장에 내놓지 못하게 막기 때문이다. 그러나 쓰레기만두는 그 억울함의 정도를 넘어섰다. ‘불량’도 아닌 … [Read more...] about 기업과 유명인을 위기로 몰아놓은 대표적 오보 TOP 7

심플이란 무엇인가?

2015년 9월 7일 by 김은우 (Christopher Kim)

심플이란 무엇인가?

심플함을 사랑한다 심플, 요즘 가장 유행하는 말 중 하나다. 애플은 아이폰을 위시한 심플한 디자인의 제품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잡스는 자신의 '만트라'가 '집중' 그리고 '심플함'이라고 말했다. 또한 그는 그림의 원형을 제외하고 모든 것을 지운 마크 로스코의 심플한 그림을 사랑했다. 마크 로스코의 그림을 사랑한 랩퍼 빈지노는 마크 로스코를 주제로 삼은 윤종신의 곡 'The Color'에 피처링했다. 여기서 빈지노는 랩으로 심플함의 가치에 대해 말한다. 이렇게 현대 사회의 창작자들은 … [Read more...] about 심플이란 무엇인가?

한국 게임산업은 왜 안 되는가

2015년 9월 4일 by 김종득

한국 게임산업은 왜 안 되는가

전자신문에 재밌는 기사가 났더랬다. '문화융성, 게임을 앞장세우자'라는 제목의 기사로, 한국이 중국에 뒤처지기 시작했는데 이걸 되돌리기 위해 게임산업을 중흥해야지 않겠냐는 취지의 기사다. 기사 중 특별히 흥미로운 부분이 있었다. 요즘 국내 게임사의 가장 큰 고민은 쓸 만한 인재를 찾기 어렵다는 것이다. 새로운 활력이 돼야 할 신입 개발자를 구하는 데 애를 먹는다. 능력 있는 젊은 개발자들이 게임업계를 취업 후순위에 두기 때문이다. 10여 년 만에 닥친 이 같은 변화는 게임업계가 예전만큼 … [Read more...] about 한국 게임산업은 왜 안 되는가

유능한 해커가 많아지면 사이버 보안 강국이 될 수 있을까?

2015년 9월 3일 by 강명훈

유능한 해커가 많아지면 사이버 보안 강국이 될 수 있을까?

어렸을 때 람보를 보고 그런 상상을 했었다. 전 국민이 람보라면 단숨에 북한 때려 부수고, 독도를 자꾸 자기네 땅이라고 우기는 일본도 혼구멍을 내줄 텐데... 과연? 전 국민이 람보가 될 수 있는지는 둘째 치고, 과연 그랬다면 우리의 소원인 통일이 진작에 이뤄졌을까? 람보는 그린베레라는 미군 특수부대원이었다. 특수부대는 전쟁 시작 전 또는 초기 적진에 잠입하여 주요 시설물을 파괴하거나 요충지 점거 등을 통해 전쟁을 유리한 방향으로 이끄는, (일반적인 군대와 다른) 말 그대로 '특수'한 … [Read more...] about 유능한 해커가 많아지면 사이버 보안 강국이 될 수 있을까?

구글이 로고를 바꿨다

2015년 9월 2일 by 박상현

구글이 로고를 바꿨다

구글이 로고를 바꿨다. 구글처럼 큰 회사가 로고를 바꿀 때는 대개 그럴 만한 이유가 있다. 곧 언론에서 디자인 비평과 함께 해석을 쏟아내겠지만, 이유는 분명해보인다.   1. 구글의 CI의 근본은 쿼키함(quirkiness)다. 엔지니어들이 만들어 기존 기업들과 전혀 다른 방식으로 작동한다는 걸 나타내는 요소는 세 가지: Google이라는 장난스런 이름 아이들 장난감 같은 4색 세리프 사용 특히 주목해야 할 것은 3번이다. 자동차 회사 같은 전통기업도 … [Read more...] about 구글이 로고를 바꿨다

“살아있는 화석이 진화론을 부정한다”는 창조론자의 오류

2015년 8월 31일 by 버둥이

“살아있는 화석이 진화론을 부정한다”는 창조론자의 오류

창조론자들은 자꾸 살아있는 화석은 진화론이 틀린 증거라고 한다. 바퀴벌레도 은행나무도 화석과 똑같기 때문에 그것은 진화가 없었다는 증거가 된단다. 이러한 주장에서는 크게 세 가지의 오류가 있다.   1. 진화는 꼭 변해야 하는 법칙이 아니다. 창조론자들은 진화론을 아메바에서 어류와 양서류와 파충류와 포유류를 거쳐 최종적으로 인간이 되고야 말겠다는 이상한 이론으로 착각한다. 그렇기 때문에 원숭이는 언제 인간이 되냐는 질문을 한다. 사실은 여기에서 진화론에 대한 심각한 오해가 … [Read more...] about “살아있는 화석이 진화론을 부정한다”는 창조론자의 오류

유전적 요인보다는 사회적 요인이 건강을 결정합니다

2015년 8월 26일 by 뉴스페퍼민트

유전적 요인보다는 사회적 요인이 건강을 결정합니다

※ The Atlantic의 "Genes Don't Cause Racial-Health Disparities, Society Does"를 번역한 글입니다. 인간 게놈 프로젝트를 끝마친 직후인 2003년 4월 23일, 프로젝트 담당자였던 프란시스 콜린스와 그의 팀은 과학계가 앞으로 풀어야할 15개 도전 과제를 제기합니다. 이들은 학계가 생명과 건강, 그리고 사회 사이의 수수께끼를 풀기 위해 게놈을 이용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특히, 게놈 연구에 근거해 건강불균형 문제를 줄일 수 있기를 … [Read more...] about 유전적 요인보다는 사회적 요인이 건강을 결정합니다

뇌가 나빠질 것처럼 겁주는 언론보도에 속지 마세요

2015년 8월 25일 by 뉴스페퍼민트

뇌가 나빠질 것처럼 겁주는 언론보도에 속지 마세요

wired의 Beware, Playing Lots of Chess Will Shrink Your Brain!을 번역한 글입니다. 신문에 나오는 신경과학 관련 기사는 대부분 건강에 나쁜 습관을 다룹니다. 올해 초 어떤 신문은 인터넷 성인물을 보는 동안 뇌가 수축한다는 연구를 싣기도 했습니다. 더 최근에 ‘데일리 메일’은 디지털 기기들을 사용해 다중 작업을 하는 것이 우리 뇌를 작아지게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이런 기사들이 전하는 메시지는 비슷합니다. 성인동영상/불량식품/게임 등이 … [Read more...] about 뇌가 나빠질 것처럼 겁주는 언론보도에 속지 마세요

  • « Previous Page
  • Page 1
  • …
  • Page 124
  • Page 125
  • Page 126
  • Page 127
  • Page 128
  • …
  • Page 183
  • Next Page »

Primary Sidebar

SPONSORED

RECOMMENDED

Footer

ㅍㅍㅅㅅ

등록번호: 서울, 아03293
등록일자: 2014년 8월 18일
제호: ㅍㅍㅅㅅ
발행인: 이승환
편집인: 이승환
주소: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69 12층
발행일자: 2014년 8월 18일
전화번호: 010-2494-1884
청소년보호책임자: 이승환
Privacy Policy

Copyright © 2025 · Magazine Pro on Genesis Framework · WordPress · Log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