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ip to content
  • Skip to secondary menu
  • Skip to primary sidebar
  • Skip to footer

ㅍㅍㅅㅅ

필자와 독자의 경계가 없는 이슈 큐레이팅 매거진

  • Home
  • 스타트업
    • 마케팅
    • 투자
  • 시사
    • 경제
    • 국제
    • 군사
    • 사회
    • 언론
    • 역사
    • 정치
    • 종교
  • 문화
    • 게임
    • 교육
    • 덕후
    • 만화
    • 스포츠
    • 애니
    • 연예
    • 영화
    • 인문
    • 음악
    • 책
    • 학문
  • 테크
    • IT
    • SNS
    • 개발
    • 공학
    • 과학
    • 디자인
    • 의학
    • 환경
  • 생활
    • 건강
    • 부모
    • 성인
    • 여행
    • 영어
    • 음식
    • 패션
  • 특집
    • 개드립
    • 인터뷰
  • 전체글

사회

휴대폰 기본요금 매월 1만 원, 이젠 폐지 할 때가 됐다

2015년 6월 26일 by 빈꿈

휴대폰 기본요금 매월 1만 원, 이젠 폐지 할 때가 됐다

  요즘 사람들은 '표준 요금제'라는 게 있는지도 잘 모를 정도로 안 쓰던데, 아직 이게 남아있고 쓰는 사람도 있다 (바로 나). 매월 기본요금 1만 원 정도를 내고, 쓰는 만큼 통화료를 내는 요금제다. 정액 요금제보다는 통화료가 비싸긴 한데, 통화를 별로 안 하면 싸게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이다. 물론 데이터 통신(모바일 인터넷)은 꿈도 못 꾼다. 그것도 쓰려면 쓰는 만큼 돈을 내야 하는데, 그러면 금방 요금 폭탄 터지기 때문. 어쨌든 그렇게 전화통화나 문자를 하나도 안 보내도 매월 … [Read more...] about 휴대폰 기본요금 매월 1만 원, 이젠 폐지 할 때가 됐다

한국의 정치경제가 구제불능인 이유

2015년 6월 26일 by 격암

한국의 정치경제가 구제불능인 이유

한국사회의 정책적 방향을 어떤 사람들이 결정하는가를 논할 때, 경제와 정치 분야가 그렇다는 것을 부정할 수는 없을 것이다. 한국 사회는 예술가나 학자나 체육인이 방향을 결정하는 사회가 아니다. 결정하는 것은 돈과 정치력이다. 그렇기때문에 우리의 경제적 논의와 정치적 논의에서 뭔가 중요한 것이 빠지게 된다면 그런 것들은 사회적으로 중요하게 다뤄지지 않게 된다. 중요한 것인데 사람들에 의해서 잊혀진다면 문제가 없을 수가 없다. 세상에 문제가 있을 때 사람들은 지금 자기가 보고 있는 것들 사이에서 … [Read more...] about 한국의 정치경제가 구제불능인 이유

사후 약방문은 소용 없다 – 긴급구호보다 생존이다.

2015년 6월 26일 by 김용빈

사후 약방문은 소용 없다 – 긴급구호보다 생존이다.

우선 사람이 살아 있어야 원조를 하든 개발을 하든 할 것 아닌가? 모든 군사활동에 대한 무조건 반사적 거부감을 버려야 한다. 인도주의적 군사활동은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개발협력의 저 밑바닥에는 인권의식이 깔려있다. 당연하다. 그럼 인권의 기초는 무엇인가? 다름 아닌 '생존'이다. 생존은 인권의 전제조건이다. 개발(발전)하려면 인권에 기초한 민주주의가 필수적이다. 인권을 사수하려는 움직임은 워낙 많은 사람의 동의 하에 광범위하게 지원되고, 또 내가 무엇 하나라도 덧붙일 능력이 있는 것도 … [Read more...] about 사후 약방문은 소용 없다 – 긴급구호보다 생존이다.

초등 교과서, 45년 전으로 돌아가자고?

2015년 6월 25일 by 낮달

초등 교과서, 45년 전으로 돌아가자고?

1970년에 사라진 초등 교과서 한자 병기(倂記)가 다시 추진되고 있는 모양이다. 보도에 따르면 교육당국이 한자학계를 중심으로 연구팀을 짜서 초등학교 교과서 한자 병기를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한다.   초등 교과서의 한자 병기 논란 애초 이는 교육부가 지난해 ‘2015 초·중등 교육과정 총론’ 시안을 발표하면서부터 논란에 불을 지피기 시작했다. 당시 교육부는 “한자교육 활성화를 위해 초·중·고 학교급별로 적정한 한자 수를 제시하고 교과서에 한자 병기의 확대를 검토한다”고 … [Read more...] about 초등 교과서, 45년 전으로 돌아가자고?

단통법 정말로 그렇게 문제가 많아?

2015년 6월 23일 by 숲속얘기

단통법 정말로 그렇게 문제가 많아?

단통법이 실시된 이후, 네티즌들은 사고 싶은 스마트폰이 비싸졌다고 술렁이고 있습니다. 혹은 최신 스마트폰이 값싼 구형 스마트폰에도 밀리는 현상을 두고 잘못되었다고 합니다.   1. 마케팅으로 인한 정보 불균형 문제의 해결 이제 제대로 돌아가는 가격과 품질 경쟁 그러나, 저는 생각이 다릅니다. 다시 한 번 생각해봅시다. 값싼 스마트폰이 잘 팔리는게 이상한가요? 삼성의 실적 미진은 사실 삼성이 스마트폰을 못 만들어서가 아닙니다. 이미 스마트폰은 상향 평준화 되었고 가격 … [Read more...] about 단통법 정말로 그렇게 문제가 많아?

희망이 없는 교실

2015년 6월 22일 by 격암

희망이 없는 교실

미국에 살다가 일본으로 이사갔을 때의 일이다. 처음으로 학교 운동회가 있어서 일본 초등학교에 갔을 때 우리는 문화적 충격을 받았다. 참 미국과 일본은 다르구나 하고 느꼈던 것이다 (그것에 대해서는 화의 일본이라는 글을 참조하라). 그런 일본에 산 것이 10년이니 한국에 올 때 우리는 문화적 충격을 받을 것을 각오했었다. 그리고 드디어 전주에서 중학교 2학년 과정에 다니고 있는 둘째 아이의 공개수업날이 되었다. 공개수업에 다녀온 아내는 자신이 받았던 충격에 대해 한동안 나에게 이야기해 … [Read more...] about 희망이 없는 교실

가나여, 카카오 밭을 갈아 엎어라!

2015년 6월 22일 by 김용빈

가나여, 카카오 밭을 갈아 엎어라!

눈 앞에 있는 자원에 얽매이는 순간, 발전은 물 건너 간다 최근 가나(Ghana)에서 카카오 산업을 지원할 아이디어가 있냐는 질문을 받으니, 몇 년 전 생각이 난다. 가나 서쪽으로 인접한 '드록바'의 나라, 코트디부아르에 출장 갔을 때다. 외교부에서 젊은 친구를 만났는데, 아버지가 한국에서 주재한 인연으로 서울에서 고등학교와 대학교를 졸업한 독특한 이력의 친구다. 이 친구가 묻기를 "60년대는 코트디부아르가 한국보다 더 잘 살았는데, 지금와서 왜 이렇게까지 차이가 벌어졌는지 모르겠다. 한국처럼 … [Read more...] about 가나여, 카카오 밭을 갈아 엎어라!

여성은 남성을 바꿉니다

2015년 6월 22일 by 뉴스페퍼민트

여성은 남성을 바꿉니다

The Atalntic의 How Women Change Men을 번역한 글입니다. 남성의 태도와 행동은 친밀한 관계에 있는 여성에게 큰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이 여러 연구를 통해 밝혀지고 있습니다. 남성인 사장이 아들을 두고 있을 경우 직원에게는 임금을 덜 주고 자기 자신의 연봉은 더 올린다는 통계가 있습니다. 하지만 딸을 두고 있을 때는 얘기가 달라집니다. 남자 CEO의 첫번째 아이가 딸일 경우 직원의 임금을 평균적인 CEO보다 더 높게 주며, 특히 여성 직원의 임금 인상폭이 큽니다. … [Read more...] about 여성은 남성을 바꿉니다

사람을 대하는 게 익숙지 않은 사람들과 함께 일하는 법

2015년 6월 19일 by 뉴스페퍼민트

사람을 대하는 게 익숙지 않은 사람들과 함께 일하는 법

※ Harvard Business Review에 Tomas Chamorro-Premuzic가 기고한 ‘How to Work with People Who Aren’t Good at Working with People’를 번역한 글입니다. 약 25년 전 학계로부터 “감성 지능(emotional intelligence, EQ)”이라는 단어가 소개되었습니다. 이후 수천 건의 독립된 연구가 직업적 성공 및 수행능력, 기업가정신 및 리더십을 발휘하는 데 (나와 타인 양측의) 감정을 … [Read more...] about 사람을 대하는 게 익숙지 않은 사람들과 함께 일하는 법

인문학, 기업 입맛대로

2015년 6월 18일 by 빈꿈

인문학, 기업 입맛대로

인문학 강의라면서 앞 사람, 뒷 사람 다 비슷한 주제로 말 하고 있으면 좀 안 부끄럽나? 하긴 바쁘신 몸들이라서 앞 사람이 뭐 말 하는지 미리 체크할 여유가 없을 테지. 기업인들아, 인문학 특강에서 '노조' 말 해봐. 좀 튈 수 있을 걸. 그게 좀 뭣하면 '시민사회', '사회운동' 이런 거. 아,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런 거 말 하고 있다고? 됐어, 그거 결국 '우린 이런 봉사활동 해요~'하면서 너네회사 홍보하는 거잖아. 그런거 말고 좀! 밖에서 보면 한국엔 인문학이 마케팅, 경영학 밖에 … [Read more...] about 인문학, 기업 입맛대로

  • « Previous Page
  • Page 1
  • …
  • Page 230
  • Page 231
  • Page 232
  • Page 233
  • Page 234
  • …
  • Page 301
  • Next Page »

Primary Sidebar

SPONSORED

RECOMMENDED

Footer

ㅍㅍㅅㅅ

등록번호: 서울, 아03293
등록일자: 2014년 8월 18일
제호: ㅍㅍㅅㅅ
발행인: 이승환
편집인: 이승환
주소: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69 12층
발행일자: 2014년 8월 18일
전화번호: 010-2494-1884
청소년보호책임자: 이승환
Privacy Policy

Copyright © 2025 · Magazine Pro on Genesis Framework · WordPress · Log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