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글은 블룸버그지의 "Seven Strategies for Investing at Market Peaks"를 번역한 글입니다. S&P 500 지수는 2013년 3월 말 이전 고점을 돌파한 이래 150차례가 넘게 신고점을 경신해 왔다. 2017년만 해도, 지난 주말까지 30차례의 신고점을 세웠다. 좀 더 크게 보면, 2000년대를 통틀어 13차례의 신고점이 기록되었다. 주가가 계속해서 신고점을 경신해 나가고, 밸류에이션도 평균 이상인 시장을 보고 있노라면 투자자들은 … [Read more...] about 시장 고점에서 활용할 수 있는 6가지 전략
거리에 선혈이 낭자할 때
※ Of Dollar and Data의 「When There is Blood in the Streets」를 번역한 글입니다. 18세기의 은행가 배런 로스차일드는 다음과 같은 유명한 말을 남겼다. "거리에 선혈이 낭자할 때가 매수할 적기다." 로스차일드는 이 신조로 워털루 전투에 따른 공황 상태에서 많은 돈을 벌었다. 하지만 이 조언은 말이 쉽지 실행에 옮기기는 아주 어렵다. 몇 가지 일반적인 규칙만으로 거의 모든 재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말하는 개인 금융·투자 업계에도 … [Read more...] about 거리에 선혈이 낭자할 때
가치 투자자를 위한 13계명
※ Acquirer's Multiple의 「The 13 Commandments Of Successful Value Investing – The Art Of Value Investing」를 번역한 글입니다. 『The Art of Value Investing』은 최고의 가치 투자 서적 중 한 권이다. 퍼싱 스퀘어의 빌 애크먼은 이 책을 다음처럼 평가한다: “저는 주로 실무와 다른 투자자들의 생각에서 투자를 배웠습니다. 이 책은 이제껏 읽어 온 최고의 투자 통찰력을 아주 잘 정리해 … [Read more...] about 가치 투자자를 위한 13계명
버핏이 다음에 인수할 기업은 어디일까?
※본 글은 FACTSET지의 "Playing the Oracle: What will Berkshire Hathaway Buy Next?"를 번역한 글입니다. 워런 버핏이 다음번 어떤 기업에 투자할지 예측해 보기로 하자. 버크셔 해서웨이의 연례 보고서를 보면, 버핏의 기업 인수 기준은 다음과 같다. 대기업 (버크셔가 인수했던 기존 기업들의 사업 부문 속하지 않으면서, 세전 영업이익 7천5백만 달러 이상) 지속적인 수익력을 입증한 기업 (미래 이익 추정이나 ‘회생’형 … [Read more...] about 버핏이 다음에 인수할 기업은 어디일까?
아마추어와 프로의 결정적인 차이
※ 이 글은 Farnam Street에 기고된 『The Difference Between Amateurs and Professionals』를 번역한 글입니다. 왜 우리 대다수는 제자리걸음을 벗어나지 못하는데, 어떤 이들은 대단한 성공을 거두고 많은 일을 할 수 있는 걸까? 대답은 복잡하고, 여러 가능성이 있다. 하나만 들자면 사고방식, 특히 아마추어와 프로의 사고방식 차이이다. 우리 대다수는 그저 아마추어일 뿐이다. 그 차이는 무엇일까? 실제로 많은 차이가 있다. … [Read more...] about 아마추어와 프로의 결정적인 차이
투자에서 ‘정답’은 없다
※ 이 글은 Pension Partners에 기고된 「The Constants」를 번역한 글입니다. 투자는 수학이 아니다. 투자는 물리학이 아니다. 시장을 지배하고, 모든 움직임을 지시하는 기본 법칙 같은 건 없다. 완벽한 포트폴리오를 푸는 데 도움이 되는 사실상 보편적인 상수는 없다. 3.14159… 아르키메데스 상수, 또한 파이(π)이라고도 불리는 상수는 원의 지름과 원주 사이의 비율이다. 초등학교에서 원의 반지름 r을 이용해 원의 면적(πr2) 또는 구의 표면적(4πr2)을 … [Read more...] about 투자에서 ‘정답’은 없다
테슬라가 GM보다 더 가치 있는 이유
※ MIT Technology Review의 「Why Tesla Is Worth More Than GM」을 번역한 글입니다. 디지털 경제는 우리를 서로 이어주는 방식, 우리가 정보, 상품 및 서비스를 소비하는 방식, 즐기는 방식을 바꿔놓았고 비-디지털 산업에 혁명을 일으켰다. 오늘날의 다양한 금융 서비스가 20년 전과 얼마나 달라졌는지 생각해보라. 투자자들은 이 현상이 머지않아 다른 산업으로 전파되리라 예상한다. 이것이 바로 테슬라가 제너럴 모터스(GM)보다 더 가치 있는 … [Read more...] about 테슬라가 GM보다 더 가치 있는 이유
강세장과 약세장은 무엇으로 판단하는가?
※본 글은 블룸버그지의 "How to Spot a Bull or Bear Market"을 번역한 글입니다. 약세장이란 무엇인가? 일반적인 정의는 여러 시장 지수들이 고점 대비 20% 하락한 상황을 의미한다. 또한, 시장 조정은 10% 하락을, 시장 하락은 5% 하락을, 시장 붕괴는 30% 이상의 하락을 의미하기도 한다. 10단위 숫자를 사용한다는 것을 (동시에 영장류가 10개의 손가락과 10개의 발가락을 갖고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 이런 십진수 편향에 합리적 기준은 없다. 이런 … [Read more...] about 강세장과 약세장은 무엇으로 판단하는가?
배당주는 채권의 대체 수단이 아니다
※본 글은 Oblivious Investor지의 "Do Dividend Stock Funds Belong in Your Portfolio?"를 번역한 글입니다. “배당주 펀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세요? 은퇴에 가까운 투자자의 포트폴리오에 담아도 될까요?” 여기서 가장 중요한 질문은 배당주 펀드의 자리를 마련하기 위해 무엇을 빼낼 것이냐는 것이다. 지난 수년간, 저금리 상황이 지속되면서, 일각에서는 고배당주 펀드로 채권 펀드를 대체할 수 있다는 주장이 있었다. 분명히 말하지만, 미친 … [Read more...] about 배당주는 채권의 대체 수단이 아니다
이더리움은 한국의 전쟁 불안 수준의 척도인가?
가상 화폐 시장에서 뭔가 이상한 일이 벌어지고 있다. 북한 뉴스가 헤드라인을 장식할 때마다 이더리움(Ethereum) 가격이 상승했다. 지난 2주 동안 이더리움 가격은 180달러 아래에서 300달러 이상으로 급등했다. 다른 가상 화폐보다 월등하게 높은 상승률이다. 동시에, 북한의 핵전쟁 위협에도 불구하고, 한국 코스피 지수는 단 3.5% 하락했고, 원화 또한 2.4% 하락하는 데 그쳤다. 아래 차트는 최근 이더리움의 현기증 나는 상승과 거래량 급증의 원인을 … [Read more...] about 이더리움은 한국의 전쟁 불안 수준의 척도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