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이 가장 어렵다고 한다. 하지만 어떻게든 일단 시작하고 나면, 중간을 넘기는 게 또 만만치 않다. 중간쯤 이르러서 포기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어쩔 수 없다. 어떤 일이든지 나름의 성과나 결과랄 것이 제대로 나오려면 시간이 걸리기 마련이니까. 중간까지는 아무런 성과가 없을 수도 있고, 성취감이나 노력의 결과가 전혀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다 보면 슬슬 포기할 타이밍을 재게 되는데, 사실 그때쯤이 비로소 결과라는 게 만들어질 수 있는 토양이 겨우 마련될 시점일 가능성이 높다.

이것 봐, 나는 안 되잖아. 역시 아무 의미 없잖아. 내가 그렇게 힘들게 시작해서 여기까지 왔는데 아무것도 없잖아. 나는 맞지 않는 거야.
이런 의문들이 쏟아질 때, 그냥 믿고 계속하는 것이다. 그렇게 '중간'을 넘기고 나면, 서서히 노력의 의미랄 것을 조금씩 만나게 된다. 이해되지 않던 것들이 이해되고, 통합되고, 응용된다. 예전에는 불가능했던 것들이 가능해 보인다. 여러 가지 의미에서의 반응이랄 것을 조금씩 경험하게 된다. 그러면 또 9부 능선까지는 달릴 수 있게 된다. 9부 능선까지 달리면, 대개 마지막까지 가게 된다.
사실, 중간의 지옥에서 할 수 있는 것은 거의 하나밖에 없는 것 같다. 그냥 하는 것이다. 마음 속에 어떤 의심이 들고, 의욕 상실의 늪을 헤매고, 절망감이나 좌절감이 앞설 때도 그냥 하는 것이다. 다른 걸 생각하지 말고 그냥 하는 것이다. 중간의 지옥을 빠져나오는 유일한 방법은, 그냥 하는 것이다.

어떤 일을 시작조차 하지 않으면, 중간의 지옥을 지나지 않으면 내 삶에 어울리는 방식을 찾아낼 수 없다. 그래서 나는 모든 일에서, 슬슬 중간 지점에 다다랐다고 느끼면 곧 이 일의 정체를 알 수 있을 것이라는 예감에 사로잡힌다. 이 일이 내 삶과 어떻게 연결되었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반드시 통과해야만 한다고 믿게 되는 것이다.
원문: 문화평론가 정지우의 페이스북
이 필자의 다른 글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