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덕스럽고 충동적이고 촐랑거리는 성격이라면 주식보다 부동산이 낫다

일반적으로 주식의 수익률이 부동산보다는 높은 편이다. ​베스트셀러 『21세기 자본』을 쓴 토마스 피케티(Thomas Piketty)는 책에서 “많은 국가에서 장기적으로 주식 투자 수익률은 연평균 7–8%, 부동산과 채권 투자 수익률은 3–4% 정도”라고 했다. ​장기적으로 주식에 투자하면 부동산보다 배 이상 수익을 거둘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개미들은 수익이 높다고 무턱대고 개미핥기가 득실대는 머니게임장에 뛰어들 수는 없는 법이다. ​체계적인 준비 없이는 쪽박 신세를 면치 못할 것이다. ​나의 스타일을 찾는 게 성공 투자의 첫 출발이다. ​그동안의 경험을 통해 내 성격을 진단한 뒤 최적의 스타일을 찾아보자.

Nature vector created by freepik - www.freepik.com
​먼저, 혹시 “그 녀석, 미련하기가 곰일세” 혹은 “미련 곰탱아”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는가. ​아니면 당신의 두 눈썹은 거의 붙어 있을 정도로 간격이 좁은가. ​한번 거울을 보라. ​미련하다면 가격 변화에 흔들리지 않는 스타일이니 주식 등 금융자산의 비중을 높이는 쪽으로 자산 재설계를 생각해보라.

​또, 혹시 2007년 중국펀드 열풍 때 가입한 펀드를 8년 이상 보유하다가 이익을 보고 환매한 경험이 있는가. ​중국 주식형 펀드는 2007년을 고점으로 계속 급락했다가 8년 뒤인 2015년에 가서야 거의 원상 복귀했다. ​만약 중국펀드 경험이 없다면 외환위기 이후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바이코리아 펀드 가입과 해지 경험을 떠올려보라. ​당신이 중국펀드나 바이코리아 펀드를 중간에 손절매하지 않고 오랜 인내 끝에 이익을 보고 환매했다면 매우 진득한 사람이다.

​즉 당신은 어지간히 놀랄 일이 일어나도 끄떡없는 강인한 정신력 소유자인 ‘멘탈 갑’이다. ​혹은 주식을 목숨 걸고 투자하지 않고 게임하듯이 즐기면서 투자할 자신이 있는 사람, 욱하는 성격보다는 참을성이 많고 냉철한 성격의 소유자일 가능성이 높다. ​이런 성격은 딱 주식투자 스타일이다.

​문제는 진득하지 않은 사람들이다. ​이들 대부분은 열풍이 식어 주가가 급락하면 참지 못하고 이내 펀드를 중도 해지한다. ​장기 투자해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시장을 믿지 못하고, 자신도 믿지 못해 큰 손실을 보고 빠져나온다. ​그리고는 다시는 주식형 펀드에 가입하지 않을 것이라고 맹세한다. ​

하지만 또 펀드 열풍이 불면 과거의 트라우마를 잊고 또 가입한다. ​‘지난번처럼 호들갑을 떨지 않겠노라’고 다짐하면서 말이다. ​미끼를 물었다가 혼이 나고서도 잊어버리고 금세 또 무는 붕어처럼 행동하는, 이른바 촐랑대는 투자자다. ​이런 사람은 실패할 가능성이 높으니 가급적 주식시장에는 얼씬거리지 않는 게 좋다.
Watercolor vector created by rawpixel.com - www.freepik.com

​마지막으로, 반 토막이 난 주식을 물타기 해본 경험이 있는가. ​그런 경험이 없는 경우 그런 상황에 처했을 때 어떤 결정을 내릴지 한번 상상해보라. ​당신은 평소 눈여겨 봐둔 우량주 1억 원 치를 샀지만 손절매의 기회를 놓쳐 어느 날 주가는 반 토막이 되어버렸다. ​일단 새가슴들은 온갖 불안한 생각들로 하루 종일 일이 잘 잡히지 않는다. ​꿈에 주식이 자주 나타날 정도로 밤잠도 설친다.

​‘회사에 무슨 일이 있나’ ‘혹시 부도가 나는 게 아닌가’ ‘주식 감자를 하는 것은 아닌가’…. 주가가 더 떨어지기 전에 팔아서 5,000만 원이라도 챙기려고 할 것이다. ​하지만 역으로 반 토막 난 주가는 평균 매입 단가를 낮추는 물타기 기회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당신이 물타기 전략을 선택한다면 해당 기업은 물론 자기 믿음에 대한 확신이 강하고 배짱이 두둑한 사람이다.

승부사적 기질에 남다른 판단 능력과 진득한 성격까지 갖췄다면 주식을 통해 부를 늘리는 게 빠르다. ​진득한 사람이므로 금융자산 비중을 최대한 늘리고 부동산은 최소화하는 게 좋을 것이다. ​부동산은 집을 제외하고는 투자하지 말고, 대부분 금융자산으로 재설계를 하는 게 바람직하다.

원문: 박원갑의 Life story


함께 보면 좋은 글
저작권자 © PPSS ㅍㅍㅅㅅ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