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 날생선. 운동. 찜통더위. 놀이기구. 사진 찍히기. 초콜릿 맛 음료. 교통체증. 여러 사람 앞에서 말하기. 인공 과일 향 나는 모든 것. 옷 입은 채 물에 들어가기. 높은 곳에 올라가기. 갑작스러운 큰소리. 모르는 사람과의 대화. 싸움. 악플. 무례한 사람 등등.
싫어하는 걸 쓰자면 2박 3일도 모자란 사람. 좋아하는 것보다 싫어하는 게 많았던 사람. 그게 바로 나다. 사회인이 된 후 극복한 척 종종 두터운 가면을 써보기도 했지만, 금세 들키고 만다.
백설기에 박힌 검은콩처럼 툭툭 내 삶에 박혀 있는 ‘싫은 것들’을 피하느라 몸도 마음도 잔뜩 웅크리고 살았다. 고슴도치처럼 바짝 가시를 세우고 다가오지 말라고 경계했다. 싫어하는 그것들이 내 살갗에, 내 마음에 닿을까 봐. 그래서 내가 가진 한 줌의 에너지마저 빼앗길까 봐.

마음의 저울이 호(好) 보다 불호(不好) 쪽으로 기울어지면 칼같이 잘라냈다. 내 취향이 아니면 밀어내기 바빴다. 그러고 나니 내게 남은 게 없었다. 나라는 사람의 세계가 점점 줄어드는 게 느껴졌다. 그런 나를 보고 사람들은 예민하다고, 까칠하다고 했다.
그렇다. 나는 예민하고, 까칠하다. 자극에 민감하고, 다정하게 말하는 일에 서툴다. 그게 난 편했지만 동시에 나를 불편하게 만들었다. 편협하고 폐쇄적인 인간이 될수록 여기저기 벽에 부딪혔다.
그래서 싫어하는 것들을 다시 보기 시작했다. 예쁜 구석을 찾아보기로 했다. 밥에 들어간 콩은 그 설컹한 느낌이 싫지만 콩국수나 콩비지, 두부 같은 콩 가공식품은 먹을 수 있다. 날생선은 못 먹지만 꾸덕꾸덕하게 말려 굽거나 조린 생선 요리는 입에 맞는다. 찜통더위에 맥을 못 추지만, 습기와 더위에 찌든 하루를 보내고 집으로 돌아와 차가운 물로 샤워를 하고 선풍기로 머릴 때만의 희열이 있다. 놀이기구 타는 건 별로지만 놀이기구를 타서 괴성을 지르는 사람들을 구경하는 건 재미있다. 교통체증은 싫어하지만, 멈춘 차창 밖으로 지나가는 사람들이 어디로 가는지 상상하는 건 즐겁다.어떤 대상을 싫어하는 데에도 분명 에너지가 쓰인다. 아득바득 싫어하느라 썼던 에너지를 애정을 갖고 바라보는데 썼다. 싫어하는 게 하루아침에 좋아질 리 없다. 그래도 꾸준히 보다 보면 나름 예쁜 구석, 나랑 맞는 취향이 닿는 부분을 찾게 된다. 버릇처럼 내뱉던 ‘싫어’를 지우니 어두컴컴했던 일상에 탁하고 환한 조명이 켜졌다.
싫어하는데 쓰는 에너지를 아껴 나를, 그리고 내 주변에 있는 것들을 따뜻하게 바라보는데 썼다. 까칠한 고슴도치 시절이나 지금이나 겉으로 보기에 크게 달라진 건 없다. 하지만 이만하면 괜찮은 날들이 시작됐다. 내 인생의 기본값인 줄 알았던 ‘예민’을 털어내고 나니 제법 나쁘지 않은 날들이 계속되고 있다.
원문: 호사의 브런치
이 필자의 다른 글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