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꿀벌은 매우 부지런한 곤충입니다. 아침 일찍 꿀과 꽃가루를 모으러 나갔다가 저녁때가 되어야 돌아옵니다. 꽃은 일 년 내내 피지 않고, 비행에는 상당한 에너지가 들어가는 만큼 때가 되면 최대한 먹이를 구해와야 하기 때문에 부지런해졌죠.
그런데 꿀벌에게는 한 가지 약점이 있습니다. 곤충 중에서는 시력이 좋은 편에 속하지만, 꿀벌 역시 작은 눈이 여러 개 모인 겹눈 구조를 지니고 있어 어두운 상황에는 잘 보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해상도나 시야 문제는 여러 개의 겹눈을 배치해서 해결한다 쳐도, 기본적으로 빛을 받는 눈 한 개는 매우 작아서 빛을 많이 받을 수 없습니다. 물론 밤에는 꽃이 열리지 않기 때문에 큰 문제는 아니지만, 아침 일찍 꽃을 찾아 나서지 않는 데는 그럴만한 이유가 있는 것입니다.
모두 작은 크기이긴 하지만, 그래도 큰 꿀벌이 눈이 큰 만큼 시력이 더 우수합니다. 연구팀은 주변 환경 밝기와 꿀벌의 이동 역시 조사했는데, 10 룩스 (lux) 이하의 어두운 환경에서는 벌집을 나서는 꿀벌이 거의 없다가 밝아질수록 큰 벌들이 먼저 먹이를 찾아 나서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일찍 일어난 새가 벌레를 잡아먹는다고 했는데, 꿀벌의 세계에서는 눈이 좋은 큰 꿀벌이 먼저 나가서 꿀과 꽃가루를 먼저 따오는 셈입니다. 물론 모든 꿀과 꽃가루는 꿀벌 군체가 공유하기 때문에 큰 꿀벌이 특별한 이득을 취하는 건 없습니다. 꿀벌의 행동이 크기에 따라 달라지는 것은 위험도와 이익을 철저하게 고려한 결과일 뿐입니다. 그래도 미처 생각하지 못 했던 재미있는 사실임에는 분명합니다.
참고
- PHYS.ORG
- Katie Hall et al. Onset of morning activity in bumblebee foragers under natural low light conditions, Ecology and Evolution (2021). DOI: 10.1002/ece3.7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