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과 셀럽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우리를 흥에 취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좋아하는 가수의 직캠을 틀어놓고 시원한 소주 한 잔을 마시면 어느새 리듬을 타고 있는 나를 발견하곤 한다. 그때쯤이면 술에 취하는지, 가수에 취하는지. 헷갈릴 정도가 된다(사실 둘 다다).
2022년부터 나를 취하게 만든 인물은 바로 박재범 님이다. 뭐라고? (앨범이 아니라) 소주를 발매했다고? 내가 알던 홀리한 댄스와 감미로운 목소리 쫀득한 랩핑의 그 박재범이 맞나?

사실 그에게 소주 사업은 오래전부터 버킷리스트였다. 2018년에는 ‘Soju’라는 이름으로 세계에 소주를 알리는 노래를 내고, 다이아몬드 2,000개로 만든 소주 모양 목걸이를 분신처럼 차고 다닐 정도였으니까. 그 돈이면 소주가 몇 병인데…라고 생각했는데 박재범 님은 더욱 큰 그림을 그린 것이 분명하다.
결국 그는 2022년 올해의 히트상품으로 '원소주'를 올려놓았다. 소주를 마시다가 소주 회사를 만들었다는 점도 잘 어울린다는 게 함정. 그런데 해외로 조금 더 시야를 넓혀 보면, 스타들이 술을 만드는 일이 크게 낯설지 않다.오늘 마시즘의 이야기는 셀럽과 술이다. 그동안 외국의 셀러브리티들은 어떤 술을 냈을까?
조국에 보내는 찬사, 드웨인 존슨의 ‘테라마나 데킬라’


영화 <모아나>의 배경이 바로 폴리네시아다. 폴리네시아는 일종의 ‘다도해’라고 생각하면 쉽다. 하와이, 사모아, 이스터섬 등 1천여 개의 섬들을 묶은 연합이다. 이 섬들 중 드웨인 존슨의 어머니의 고향이 사모아였다. 그래서일까? 평소에도 폴리네시아 문화에 깊은 애정을 보여왔던 드웨인 존슨은 영화 <모아나>에서 남자주인공의 성우를 맡기도 했다.
그렇다. 드웨인 존슨의 꿈은 단순히 데킬라를 판매하려는 게 아니다. 진짜 의도는 자신의 정체성인 폴리네시아 문화를 향한 애정과 연대, 더 나아가 보존을 말하고 싶다는 것에 있다.최근에는 에너지 드링크 ‘조아(ZOA)’를 출시했는데, 여기에도 똑같은 타투가 그려져 있다. 마치 박재범이 한국을 알리기 위해 소주를 론칭한 것처럼, 그 역시 폴리네시아를 알리고자 데킬라를 선택한 것이다.
세상에서 가장 힙한 샴페인, 제이지의 ‘아르망 드 브리냑’

이것이 바로 힙합에서 말하는 FLEX가 아닐까? 치킨이 먹고 싶을 때 BBQ를 사고, 햄버거 대신 맥도날드를 사는 것 같은 것 말이다. 이후 아르망 드 브리냑은 당대 최고의 래퍼들 사이에서 FLEX의 상징으로 자리 잡는다. 마치 래퍼들이 롤렉스 시계를 차고, 에르메스 가방을 메듯이. 하룻밤 파티에도 1억짜리 샴페인을 터뜨릴 수 있는 사람들이 마시는 쿨한 샴페인이 되었다.
데킬라, 잭팟을 쏘다: 조지 클루니의 ‘카사미고스’

배우 역사 최초로 데킬라 사업에 도전하게 된 조지 클루니. 카사미고스를 통해 그동안 배우로 번 돈보다 훨씬 더 많은 수익을 낸다. 물론 이전에 조지 클루니가 배우로서 얻은 월드와이드 명성과 인지도가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겠지만. 인기, 맛, 재력. 3박자가 골고루 갖춰진 그야말로 대박을 위해 태어난 데킬라인 셈이랄까?
패션? 뷰티? 이제는 데킬라가 대세입니다: 켄달 제너의 ‘데킬라818’

이름에 붙은 ‘818’은 그녀가 나고 자란 고향 도시 ‘칼라바사스(Calabasas)’의 지역 코드명이다. 그만큼 켄달 제너가 자신의 고향을 걸고 출시할 만큼 자신감 있게 내놓았다는 뜻이다. 과연 데킬라818은 힙한 인스타그래머들의 피드를 장악할 수 있을까?
스타에 먼저 취하고 술에 취한다

과거에는 주류를 비롯한 브랜드가 자신과 비슷한 이미지의 모델을 찾았다. 하지만 셀럽들의 술을 보면 시장의 판도가 바뀌었음을 느낄 수 있다. 이제는 단순히 있는 제품의 모델이 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을 더욱 표현할 수 있는 주류를 스스로 론칭하는 것이다.
물론 이럴 수 있는 이유에는 이들의 본캐를 좋아해 주는 단단한 팬층이 있기 때문이다. 켄달 제너의 인스타그램 팔로워는 2억 1천 명이고, 드웨인 존슨은 무려 2억 9천 명에 달한다. 그냥 자기 집 거실에서 데킬라를 마시는 사진 한 장만 올려도, 어마어마한 홍보효과가 전 세계에 자동으로 이뤄지는 셈이다.
박재범의 원소주 또한 그랬다. 자체 브랜드 계정은 광고 하나 없이, 오직 박재범의 스타성만으로 약 40만 명의 팔로워를 모았다. 그리고 오프라인 첫 출시 당시 '1000명 오픈런'이라는 진기록을 세우며 한국 주류계에 새로운 바람을 불러일으켰다. 7월부터 신상품 '원소주스피릿'을 GS25에서 판매할 예정이라는데, 설레는 마음으로 기다려 본다.
PS.
그런데 헐리우드 스타들은 왜 다들 데킬라를 만들까? 그것은 할리우드와 멕시코가 지리적・문화적으로 연관이 있기 때문이다.
할리우드가 속한 캘리포니아는 미국 내에서도 데킬라가 가장 많이 팔리는 지역이다. 또한 멕시코와 국경이 맞닿아있는 할리우드의 위치적 조건 덕분에, 데킬라를 만드는 주원료가 되는 ‘용설란’을 구하는 것도 어렵지 않았다. 할리우드는 셀럽들에게 데킬라를 익숙하게 즐겨 마시는 공간이자 동시에 사업적으로 도전하기에도 좋은 환경인 것!
원문: 마시즘
이 필자의 다른 글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