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도 기획하고, 시상식도 중계하고

이와 같이 최근 커머스 기업들은 문화 콘텐츠 판매는 물론 직접 기획까지 나서며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올해 2월에 프리즘이 한국대중음악상의 단독 중계 파트너로 나서, 앱에서 이를 실시간 라이브로 송출한 것이 대표적인데요. 온라인뿐 아니라 오프라인에서도 백화점에 미술관이 들어서고, 미술 전시를 주최하는 등 유사한 흐름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렇게나 커머스 기업들이 문화 콘텐츠에 진심인 이유는 대체 무엇일까요?
취향 기반 소비자를 찾아서
29CM, 프리즘, 그리고 백화점까지, 이들의 공통점은 무언가 가격 이외의 가치를 추구하는 소비자들이 주로 찾는 곳이라는 겁니다. 문제는 선호하는 스타일과 브랜드가 확고한 이들을 찾아서 접촉하는 것이 만만치 않다는 점입니다. 어느 정도 소득과 정비례하긴 하나, 수입이 많다고 반드시 취향 소비를 추구하는 것도 아니기 때문인데요.가격적 강점은 매스 마케팅으로 알려도 효과가 있지만, 이러한 완전히 협소한 타깃에겐 다른 접근이 필요합니다. 이때 주목받은 것이 문화 소비자들인데요. 공연, 전시 등에 기꺼이 돈을 지출하는 이들은 자신만의 취향이 확고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를 가장 잘 보여준 사례 중 하나가 현대카드의 슈퍼콘서트입니다. 한때 업계 최하위였던 현대카드는 유명 아티스트의 힘을 빌어 인지도를 끌어올리고, 시장 점유율 2위 등극을 목전에 두고 있습니다. 남다른 경험을 제공하여, 새로운 신규 고객을 확보하였고요. 현대카드의 팬이 된 이들이 나이가 들면서 적극적인 소비층으로 변모했기에 가능한 일이었습니다. 아마 29CM나 프리즘도 이러한 미래를 꿈꾸고 있을 거고요.
차별화만이 살길입니다
요즘 국내 이커머스 시장은 매우 어렵습니다. 거대한 1위 사업자 쿠팡은 가격과 구색, 편의성 모든 측면에서 압도적인 우위를 보이고 있고요. 가격 하나만으로는 쿠팡조차 따라잡을 수 없다는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등 중국 플랫폼의 공세도 거세지고 있습니다.
이처럼 콘텐츠와 커머스 간의 이종 결합은 앞으로 더욱 많아질 겁니다. 또 어떤 재밌는 사례가 나올지 더욱 궁금해지네요.
원문: 기묘한의 브런치
커머스와 IT에 관한 트렌드를 기록하고 나눕니다
트렌드라이트는 국내 최대 규모의 커머스 버티컬 뉴스레터로, '사고파는 모든 것'에 대한 이야기를 다룹니다. 매주 수요일 아침, 가장 신선한 트렌드를 선별하여, 업계 전문가의 실질적인 인사이트와 함께 메일함으로 전해 드릴게요.
- 가볍게 트렌드를 나누는 뉴스레터 → 매주 트렌드 받아보기
- 카카오톡 채널 → 무료 구독하기
- 책 『기묘한 이커머스 이야기』→ 구매하기
이 필자의 다른 글 읽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