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컵 공인구 최초 3국 상징 담았다…‘트리온다’의 정체는?

단풍·독수리·별이 하나로…2026 FIFA 공인구의 숨은 의미

북중미 월드컵 공인구 '트리온다'[사진=FIFA 제공]
북중미 월드컵 공인구 '트리온다'[사진=FIFA 제공]

사상 첫 3개국 공동 개최를 반영한 2026 북중미 월드컵 공인구가 공개됐다.

2026 국제축구연맹(FIFA) 북중미 월드컵 공인구 ‘트리온다(TRIONDA)’는 지난 3일(한국시간) FIFA가 공식 채널을 통해 공개했다.

트리온다는 아디다스가 제작했으며, ‘세 개의 파도’를 의미하는 스페인어 단어에서 이름을 따왔다.

공식 발표에 따르면, 공의 디자인은 미국, 캐나다, 멕시코 세 공동 개최국의 상징색인 파란색, 빨간색, 초록색이 역동적으로 조화를 이루며 파도를 형상화한 형태다.

FIFA는 "트리온다는 새로운 4패널 구조로 설계돼 패널들이 공 중앙에서 삼각형을 이루며 연결되고, 이는 개최국들의 역사적인 결합을 상징한다"고 설명했다.

공에는 각 개최국을 대표하는 문양도 더해졌다.

캐나다의 단풍잎, 멕시코의 독수리, 미국의 별 무늬가 각각 공 표면에 장식됐으며, 월드컵 트로피에 대한 경의를 담아 금빛 디테일도 삽입됐다.

기술적으로는 ‘커넥티드 볼’ 기술이 도입됐다.

내장된 모션 센서 칩이 공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분석해 비디오 판독 시스템(VAR)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FIFA는 “이 기술이 오프사이드 여부 판정 등 심판의 정확성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4패널의 연결 부분은 깊은 선으로 설계돼 공중 이동 시 안정적인 항력을 형성하도록 설계됐으며, 표면에는 양각 아이콘이 적용돼 젖은 환경이나 습도가 높은 상황에서도 그립감을 강화하도록 했다.

공인구는 1970년 멕시코 월드컵에서 등장한 ‘텔스타’를 시작으로 아디다스가 제작해왔으며, 직전 대회인 2022년 카타르 월드컵에서는 ‘알 리흘라’가 사용됐다.

저작권자 © PPSS ㅍㅍㅅㅅ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