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유가·환율 동반 상승에 유류세 인하폭 축소까지 겹쳐
난방용 수요와 수급 불안에 유가 강세…소비자 체감 가격↑

서울 지역 휘발유 가격이 9개월 만에 다시 1,800원대를 넘어섰다.
18일 오후 3시 기준, 서울의 주유소 휘발유 평균 판매 가격은 전일보다 리터당 4.27원 오른 1,801.0원으로 집계됐다.
이 같은 수치는 지난 2월 6일에 기록된 1,800.84원 이후 약 9개월 만의 1,800원대 재진입이다.
서울은 전국에서 휘발유 가격이 가장 비싼 지역으로, 이날 전국 평균 역시 리터당 1,729.66원으로 전일 대비 3.65원 상승했다.
휘발유뿐 아니라 경유 평균 판매가도 계속 오르고 있다.
전국 경유 가격은 1,636.13원, 서울은 1,709.75원까지 각각 상승했다.
최근 3주 연속 국내 유가가 오름세를 타고 있는데, 이는 국제 석유 제품의 가격 반등과 환율 상승이 겹치면서 원유 수입 비용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더불어, 정부가 이달 들어 휘발유 유류세 인하율을 10%에서 7%로, 경유 및 LPG 인하율을 15%에서 10%로 각각 낮췄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가격 인상 폭은 더욱 커졌다.
유가 인상은 운송·유통 등 각종 물가 상승 압박 요인으로 전이되고 있어, 연말 물가 불안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통계에 따르면 10월 소비자 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2.4% 상승했으며, 석유류 가격은 4.8% 상승해 전체 물가 인상률을 견인했다.
정부는 물가 동향을 면밀히 살피는 한편, 13일 산업통상자원부가 유관 업계와 ‘석유 시장 점검 회의’를 개최해 가격 급등을 억제할 수 있도록 자발적 협조를 요청했다.
석유 업계에서는 국제유가 하락 전환 움직임이 뚜렷하지 않은 상황에서, 연말 성수기와 환율 변동성까지 더해져 국내 기름값 오름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대한석유협회 관계자는, “동절기 난방 수요 확대와 함께 글로벌 석유제품 공급 불안 등이 겹치면서 국제유가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며 “국내 유가 상승 기조가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