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 반대 속 시험 발파 연기…향후 본 발파 강행 여부가 쟁점
안전성·정보 비공개 문제에 주민 불신…시공사-주민 갈등 장기화 조짐
![대전 중구 선화동 주민 100여명이 23일 선화동 성당 앞에서 도심 발파 공사에 반대하는 집회를 열고 있다.[사진=연합뉴스]](https://cdn.ppss.kr/news/photo/202511/275980_87884_5657.jpg)
대전 도심 한복판에서 진행될 예정이었던 초고층 아파트 공사 발파 시험이 주민들의 강한 반발에 부딪혀 결국 연기됐다.
중부경찰서와 중구청에 따르면, 대전 중구 선화동 아파트 건설 시공사가 신청한 시험 발파 계획의 허가가 24일 보류됐다.
경찰은 “대전시장이 주민들과 간담회를 가진 뒤, 주민이 납득할 수 있도록 충분한 의견 수렴 절차를 진행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며 “주민설명회 등 추가 절차를 거친 뒤 허가 여부를 다시 검토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현행법상 화약 발파 공사는 ‘총포·도검·화약류 등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관할 경찰서의 정식 허가가 있어야 추진할 수 있다.
시공사는 암반 파쇄를 위한 본 발파 공사에 앞서 오는 25일 환경 영향과 진동 범위를 확인하는 시험 발파를 진행할 계획이었다.
이 시험은 125g 규모의 화약을 8차례 터뜨려, 미진동 설계 공법이 주변 건물에 미치는 영향을 거리별로 계측하는 방식이다.
시공사는 해당 부지 지반이 강도가 높은 암반층으로 구성돼 있어 발파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또한 진동·소음 기준을 상향 적용하고, 무진동 발파 공법과 정밀 제어 발파를 적용해 약 4개월간 공사를 진행하겠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시험 발파 연기에도 불구하고 본 발파 계획 자체는 여전히 유효해 향후 논란은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공사 현장과 직선거리 50m도 떨어져 있지 않은 위치에 3개 아파트 단지 약 2,200세대가 밀집해 있고, 인근에는 49층 규모의 851세대 주상복합 건물이 현재 골조 공사를 진행 중인 상황이라 안전성 우려는 더욱 커지고 있다.
주민들은 발파로 인한 지반 진동으로 건물 균열이 발생할 가능성, 비산물질·소음 피해, 발파 가스 유입 등을 우려하며 강하게 반대하고 있다.
선화동 발파 공사 반대 대책위원회는 “공사 기간 단축과 비용 절감 같은 경제적 편익이 주민의 생명과 안전보다 앞설 수는 없다”고 강조하며 “시공사는 사용 예정 폭약량과 지반조사 결과 등 핵심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어떻게 주민 안전을 확보할지 구체적 대책을 제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공사 측과 주민 간 갈등이 장기화될 조짐을 보이는 가운데, 대전시와 경찰의 최종 허가 여부가 향후 사업의 방향을 좌우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