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대화의 방법이란 사실 들어주기의 방법이라 믿고 있다. 좋은 대화가 들어주기와 말하기로 이루어진다면, 대략 80% 정도는 들어주기의 지분이 아닐까 싶다. 내가 얼마나 좋은 말을 해줄지는 대화에서 크게 중요하지 않다. 그보다 얼마나 상대의 말을 잘 들어줄 것인가가 중요하다. 좋은 대화의 경험이라는 것도, 대개는 상대로부터 얼마나 대단한 말을 들었느냐보다도 자기 스스로 얼마나 진솔한 이야기를 풀어 놓았느냐에 따라 좌우되지 않나 싶다.
그런데 이 '들어주기'라는 것이 무조건 상대가 말만 하고, 나는 가만히 앉아만 있는 건 아닌 듯하다. 그보다 어떤 적극적인 제스처가 매우 중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그래서 대략 '들어주기'란 공감, 질문, 침묵 정도로 이루어져 있지 않나 싶다.
공감은 그냥 '맞아, 그래'만 반복하는 것보다도, 상대의 심정을 보다 정확하게 이해하는 일과 관련되어 있다. 대개 사람들은 말을 하면서도 자신의 진짜 심정이 무엇인지 잘 알지 못한다. 자신이 분노하는지, 슬픈지, 아픈지, 기쁜지, 즐거운지 미리 다 알고 이야기하는 경우는 잘 없다. 그럴 때 상대의 마음이랄 것을 잘 들여다보고 '그래서 참 슬펐겠구나' '되게 화가 났겠다' '정말 기뻤겠다'라고 적극적으로 파악해서 상대의 감정을 지적해주면, 상대는 비로소 자신의 마음을 알게 되고 공감받았다고 느끼곤 한다.

대개 내가 당신보다 잘났고 나를 우러러 봐주길 원하고, 나의 잘남이 어떠냐 같은 마인드는 대화보다는 경쟁·과시·전시의 마인드이다. 이런 마인드는 대개 다른 곳에서, 다른 방식으로 해소하는 게 나을 것이다.
나는 언젠가부터 내가 하고 싶은 많은 말들을 주로 글쓰기를 통해 해결하고 있다. 사람들과 대화를 할 일이 있을 때는 가능하면 들어주고, 서로에게 좋은 대화를 하려고 애쓰게 된다. 그런 과정에서 굳이 할 필요 없는 말들을 많이 걸러내고 가능하면 상대의 말이 내게 무척 가치 있는 것이라 믿으면서, 상대에게 이런저런 질문을 하기도 한다. 그러면 실제로 대화 자체가 즐거워진다. 내가 이 사람과 좋은 관계를 만들어나간다는 그 느낌이 좋기 때문이다.
적어도 나는 좋은 대화란 그런 것이라 믿고 있다. 또한 좋은 대화란, 곧 좋은 관계와 다르지 않고 말이다.
원문: 정지우의 페이스북
이 필자의 다른 글 읽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