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2억 검은돈’…국내 은행 현지법인에 남은 프린스그룹 자금 논란

국제 제재에도 캄보디아 관련 자금 남아…대응과 실태 파악 촉구
강민국 의원 “캄보디아 정부와 협의로 범죄수익 환수 필요”

‘912억 검은돈’…국내 은행 현지법인에 남은 프린스그룹 자금 논란 / 사진=연합뉴스
‘912억 검은돈’…국내 은행 현지법인에 남은 프린스그룹 자금 논란 / 사진=연합뉴스

인신매매·감금 등 중범죄 혐의로 국제사회의 제재 대상에 오른 캄보디아 프린스그룹의 자금 912억여 원이 현재도 국내 금융사의 캄보디아 현지법인 계좌에 남아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20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강민국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국민은행·전북은행·우리은행·신한은행·IM뱅크 등 국내 금융사의 캄보디아 현지법인 5곳이 프린스그룹과 총 52건의 거래를 진행했다.

이들 거래의 총액은 약 1천970억 원에 달했다. 전북은행이 프린스 그룹과의 정기예금 거래 47건으로, 거래 금액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1천216억 원을 기록했다.

캄보디아 현지법인 4곳에는 여전히 900억 원이 넘는 프린스 그룹 자금이 남아 있다. 국민은행 566억 원, 전북은행 268억 원, 우리은행 70억 원, 신한은행 6억 원 상당의 예금이 남아있는 상황이다.

프린스그룹은 부동산과 금융 등 여러 분야에서 활동하며 캄보디아 경제에 영향력을 행사해 온 대규모 기업집단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미국과 영국 정부가 이 그룹과 천즈 회장을 대상으로 공동제재를 가했다.

 

한국 정부도 금융·외환·출입국 차원에서 제재 방안을 함께 검토 중이다. 정부 관계자는 “자금 동결 조치가 시행되면 해외 현지법인 계좌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고 설명했다.

해당 은행들은 미국, 영국의 제재가 발표되자 이미 프린스 그룹 명의 계좌를 동결했다고 밝혔다. 한 은행 관계자는 “지난 16일부터 계좌를 동결했으며, 관련 국제 제재를 철저히 따르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미국과 영국이 신속하게 조치한 것과 달리 한국 정부의 대응이 상대적으로 미흡했다는 지적도 나왔다. 국내 금융당국이 캄보디아 내 조직 범죄 및 피해를 인지했음에도, 국제 제재 이후에야 본격적으로 움직였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이에 따라, 동결된 자금을 토대로 피해 회복 등 실질적 후속 조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높아졌다.

강민국 의원은 “금융위원회는 캄보디아 범죄조직의 자금 동결 가능성 등에 대해 캄보디아 정부와 긴밀히 협의해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정확한 실상 파악과 대책 마련이 반드시 뒤따라야 한다”고 밝혔다.

이억원 금융위원장은 같은 날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관계부처 협의를 신속히 마치고, 금융거래 제한 대상자 지정을 빠르게 추진하겠다”고 답했다.

사진=연합뉴스

관련기사
저작권자 © PPSS ㅍㅍㅅㅅ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