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 남단’ 경제자유구역이 아파트단지로?...법적 근거 없는 투자서 ‘논란’

주거 비율, 기존 경제자유구역보다 높아…고밀도 개발 우려 집중
"실질적 투자 수요 선행돼야" 주장…기업 유치 경쟁도 변수

‘강화 남단’ 경제자유구역이 아파트단지로?…법적 근거 없는 투자서 ‘논란’ / 사진=연합뉴스
‘강화 남단’ 경제자유구역이 아파트단지로?…법적 근거 없는 투자서 ‘논란’ / 사진=연합뉴스

인천 강화도 남단이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될 경우 대규모 아파트단지 건설로 방향이 달라질 우려가 제기됐다.

허종식 더불어민주당 의원(인천 동구·미추홀구갑)은 27일 공개된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의 자료를 토대로, 강화 남단 경제자유구역(면적 6.32㎢) 내 주거 용지 비율이 13.3%(0.84㎢)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 수치는 청라(13.1%), 영종(12%), 송도(8.1%) 등 기존 인천 경제자유구역의 주거 용지 비율을 상회한다.

계획 인구도 주목된다. 강화 남단에는 약 2만9천679명이 거주할 예정이어서, 주거 용지 1㎢당 인구밀도는 3만5천명에 달하게 된다. 영종 지역(2만9천명)보다 높은 수치로, 산업 중심의 경제자유구역 취지와 달리 아파트 위주 고밀도 개발 우려로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 허 의원의 지적이다.

산업 용지 규모는 155만9천515㎡로 전체의 24.6%를 차지한다. 그러나 영종 미개발지, 계양테크노밸리, 부천 대장신도시 등 인접 지역이 산업 용지 확보와 기업 유치에서 경쟁할 것으로 예상돼 실질적 이점이 제한적일 수 있다는 평가가 나왔다.

실제로 산업통상자원부 경제자유구역 자문회의에서도 2023년 10월과 2024년 4월, 기업 유치가 확실하지 않다는 우려가 두 차례 제기된 바 있다.

인천경제청은 “셀트리온, 롯데바이오로직스 등 42곳과 중국 바이두, 가천길재단 등 총 97곳이 입주 의향을 밝혔으며, 지속적으로 투자 유치를 진행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허 의원실은 “투자의향서(LOI)나 양해각서(MOU)는 법적으로 강제력이 부족해 실제로 투자로 연결되는 사례가 드물다”면서, “대기업 투자도 확정적이지 않다”고 경계했다.

또 인천경제청이 “송도 11공구 땅 매각 수입 등을 포함해 총 1조3천억 원가량을 우선 투입, 강화 남단 부지를 매입할 계획”이라고 설명한 데 대해 “엄청난 재원 투입 전, 투자 수요 확보와 사업 계획 전면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사진=연합뉴스

관련기사
저작권자 © PPSS ㅍㅍㅅㅅ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