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번째 자유무역협정’…양국 전체 품목 90% 이상 관세 자유화
“디지털·청정에너지 협력 강화”…K-콘텐츠 확산 발판 마련
한국이 아세안 국가 중 세 번째로 교역이 활발한 말레이시아와 자유무역협정을 공식 체결하며, 양국 경제 협력에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했다.
산업통상부는 26일 쿠알라룸푸르에서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과 뜽쿠 자프룰 말레이시아 투자통상산업부 장관이 참석한 가운데 양자 FTA 협상 타결을 공동선언문 서명으로 마무리했다고 27일 발표했다.
이번 자유무역협정은 우리 정부가 추진한 27번째 FTA로, 체결에 따라 한국은 전체 품목의 94.8%, 말레이시아는 92.7%에 대해 관세를 없애거나 대폭 낮출 계획이다.
또한 기존 한-아세안 FTA 및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에서 제외됐던 자동차, 철강 등 주력 분야의 개방폭이 확대돼, 각각 682개와 288개 품목에서 관세가 추가로 철폐 혹은 인하될 전망이다.
자동차의 경우, 전기차 CKD(조립용 부품세트) 세단과 SUV에 부과되는 10% 관세가 폐지되고, 완성 전기차 SUV에는 30%의 관세가 50% 감축될 예정이다. 가솔린과 하이브리드, 디젤 CKD 자동차 역시 관세 인하가 단계적으로 확대돼 자동차 산업의 말레이시아 진출 기반이 한층 두터워질 것으로 보인다.
철강 부문에서도 말레이시아의 민감성에도 불구하고 냉연 및 도금강판 등 9개 품목은 기존 5%의 관세가 철폐되며, 열연 등 12개 품목은 15%에서 10%로 인하된다.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 화학제품 역시 관세가 사라져 수출 확대가 기대된다.
아울러 바이오원료 확보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팜산유 등 바이오원료 및 요소수의 관세 철폐와 기간 단축을 통해 원자재 수급과 비용 안정성도 제고된다.
한편 국내 농림수산물 보호를 위해 두리안, 파인애플, 바나나 등 일부 열대과일과 수산물에 제한적으로 양허가 적용돼 국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최소화됐다.
디지털 제품과 전자적 전송물에 대한 무관세, 비차별적 대우도 보장돼 K-콘텐츠의 말레이시아 진출 가능성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이번 합의에는 녹색경제 분야가 별도 장으로 채택돼 청정에너지, 저탄소 기술, 바이오 및 공급망 등 미래산업 협력도 구체화됐다. 이는 한국이 체결한 FTA 중에서 최초로 도입된 시스템이다.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은 “자동차, 철강, 석유화학 등 수출 주력 산업의 시장 개방뿐 아니라 디지털·청정에너지·바이오 등 미래 성장분야 협력에도 기대가 크다”고 밝혔다.
정부는 앞으로 한-아세안 정상회의에서 제시된 2029년 교역 3천억 달러 목표 달성을 위해 한-아세안 FTA 개선 및 말레이시아 등 주요국과 실질적 협력 확대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동시에 ‘한-아세안 경제·통상 싱크탱크 다이얼로그’ 확대와 ‘아세안 통상공무원 초청 연수’ 등 인적 교류 프로그램을 확장해 신남방 경제협력도 심화할 계획이다.
- ‘2차 소비쿠폰 10월 31일 마감’...윤호중 “지역상권 활력 위해 신청 서두르시길”
- ‘한국인임을 묻는 순간 더이상 두근거림 없이’…이재명 “진짜 대한민국 만들겠다”
- 원조가 돌아온다… 13년 만에 부활한 ‘2025 MBC 대학가요제 ‑ 청춘을 켜다’ 열풍 예고
- [한국시리즈 LG1: 한화0] 류현진 19년 만의 등판…한화 반격의 불씨될까
- "내로남불 3인방"... 국민의힘, 이재명·경제라인 전면 사퇴 촉구
- “감사가 이사회 의장 회사 직원?”…동양레저, 핵심자산 매각 위기 ‘내부 감시’도 실종
- ‘1,440원 돌파’…환율 급등에 코스피 하락, “관세협상 지연 영향”
- ‘역내 금융 안전망’ 움직임 본격화…中·한·일 통화스와프, 확대 논의 주목
- ‘내로남불’ 지적에 부동산 민심 집중…국민의힘 “서민만 벼랑끝” 공세
- 김영웅이 날았다…삼성, 한화에 기적의 대역전 드라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