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카이치 총리 '대만 유사시' 발언으로 중일 외교 갈등
전문가들 “양국 신뢰 낮지만 실익 고려해 충돌 관리할 것”…관영매체는 일본에 발언 철회 촉구

중국과 일본 간 외교 갈등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양국은 관계 단절보다는 제한적 타협을 모색할 가능성이 크다는 전문가 분석이 나왔다.
지난 7일,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가 ‘대만 유사시’ 무력 개입 가능성을 언급한 이후, 중국은 외교 채널과 관영매체를 통해 일본을 강하게 비판하며 대응 수위를 높이고 있다. 이에 대해 중국 내 전문가들은 양국 간 신뢰는 낮지만, 정치적 기반을 완전히 훼손하지 않으려는 의지가 여전히 존재한다고 진단했다.
24일 대만 중앙통신사에 따르면, 자오추 상하이 국방전략연구소 부소장은 “중국은 일본에 강력한 항의를 하고 있지만, 실질적인 보복 조치는 자제하고 있다”며 “이는 양국이 관계를 단절하지 않겠다는 뜻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과거 동중국해 가스전과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분쟁 사례를 언급하며 “중일은 싸우되 찢어지지 않는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베이징 소재 중일 관계 전문 학자도 “중국은 강경한 발언을 이어가겠지만 사태는 외교적 협상으로 수습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 학자는 양국이 원칙적 합의만 도출한 뒤, 각자 해석을 달리해 국민들에게 ‘상대가 물러섰다’고 설명하는 방식의 전개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천양 랴오닝대 일본연구센터 객원연구원 역시 “중일 관계는 제한적 타협 아래 낮은 신뢰 수준으로 공존하는 방향으로 갈 것”이라며 “정치적으로 냉각되고 경제도 냉랭한 교착상태가 지속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그는 특히 “일본 내 일부 기업은 중국 내 투자 계획을 재검토할 것이며, 반도체 및 신에너지 분야 협력도 위축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국 관영 환구시보는 같은 날 사설을 통해, 다카이치 총리의 발언 철회 없이 '대화 용의'만 강조하는 일본의 태도에 대해 “위선적이며 본질적인 책임 회피”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매체는 일본이 '대만 개입'을 가정적 문제라며 발언을 합리화하는 한편, 중국의 반응을 과도하다고 비난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대화를 위한 전제는 일본의 잘못 인정과 반성”이라며 “그렇지 않으면 양국 관계는 정상 궤도로 복귀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다카이치 총리는 지난달 21일 취임 이후, 중의원에서 일본 총리로서는 처음으로 대만 유사시 무력 개입 가능성을 공식 언급했다. 이후 중국은 일본 영화 상영 중단, 일본산 수산물 수입 재중단, 자국민 대상 일본 여행·유학 자제령 등 다양한 조치를 연달아 발표하며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일본 정부는 대만 문제에 대한 기존 입장에는 변화가 없으며 중국과의 대화 의지가 있다고 밝혔지만, 다카이치 총리의 발언 철회는 불가하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처럼 양국 간 강대강 대치는 이어지는 가운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도 다카이치 총리와 리창 중국 총리의 회담이 무산되며 대립 장기화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 조국혁신당, 새 수장에 조국 전 장관 선출… 찬성률 98.6% 압도적 지지
- “자진 하차 아냐”… 이이경의 폭로, ‘놀면 뭐하니?’ 제작진 책임론 확산
- 안세영, 시즌 10승 돌파… 배드민턴 여제의 전설은 지금 쓰인다
- 손흥민, 극장골→승부차기 실축… 우쉬움 속 끝난 첫 MLS 플레이오프
- 아프리카 첫 G20 정상회의 막 내려… 美 불참 속 남아공 '강수'
- ‘프랑스와 140년 우정…독일, 통일 노하우 공개?’ 이재명, 연이은 정상회담서 협력 확대 강조
- ‘2028년 G20 정상회의, 서울에서 열린다’…‘남아공 정상선언’ 채택
- ‘홈플러스 사태’ MBK파트너스에 중징계 예고…“국민연금 파장 확산 주목”
- 포스코 포항제철소 유해가스 사고…작업자 3명 중태, 이동렬 소장 보직해임
- ‘검은 금요일’…코스피 4% 폭락에 환율도 치솟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