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은 금요일’…코스피 4% 폭락에 환율도 치솟았다

외국인 대규모 매도에 반도체주 중심 주가 급락
미국 증시 휘청이자 가상자산 시장까지 동반 하락

‘검은 금요일’…코스피 4% 폭락에 환율도 치솟았다 / 사진=연합뉴스
‘검은 금요일’…코스피 4% 폭락에 환율도 치솟았다 / 사진=연합뉴스

21일 국내 증시가 글로벌 고평가 우려와 위험 회피 심리 확산에 따른 충격으로 ‘검은 금요일’로 불릴 만큼 급락세를 기록했다.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151.59포인트(3.79%) 내린 3,853.26에 장을 마감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주요 반도체 종목이 각각 5.77%와 8.76% 하락하며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이 대거 내림세를 보였다.

외국인 투자자들이 단 하루에 2조8,230억 원어치를 순매도하며 주가 하락을 주도했고, 개인 투자자들은 2조2,950억 원 규모의 주식을 순매수했다.

이번 달 외국인 누적 순매도액은 10조 원을 초과했다.

코스닥지수는 27.99포인트(3.14%) 하락한 863.95로 장을 끝냈다.

인공지능(AI) 섹터 거품 논란이 다시 불거지며 미국 주식시장 기술주에서 투매가 일어났고, 이 여파가 국내 금융시장에도 악영향을 미쳤다.

미국에서는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가 0.84% 하락했고, S&P500과 나스닥도 각각 1.56%, 2.15% 내렸다.

AI 대표주 엔비디아가 3분기 기대 이상의 실적을 내놨으나, 곳곳에서 고평가 불안감이 해소되지 않은 분위기가 이어졌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12월 10일 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연 3.75~4.00%로 동결할 가능성이 더욱 커졌다는 전망도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했다.

리사 쿡 연준 이사는 대학 강연에서 “고평가된 자산의 가격 하락 가능성이 더 커졌다는 인상을 받았다”며 경계심을 나타냈다.

미국의 9월 고용보고서가 발표됐으나, 11만9,000명으로 전망치를 웃도는 비농업 일자리 증가에도 불구하고 실업률은 4.4%로 뛰며 금리 인하 기대엔 힘을 싣지 못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 페드워치 자료에 따르면, 시장에서는 연준의 기준금리 동결을 64.6%로 내다보고 있다.

환율 시장에서는 약세가 더욱 두드러졌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전일보다 7.7원 상승한 1,475.6원으로 집계됐고, 장 마감 직전엔 1,476.0원을 기록했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 당시 미·중 무역 갈등이 극심했던 지난 4월 9일(1,484.1원)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달러 강세와 엔화 약세 기조가 이어지면서 환율에 추가 상승 압력을 줬다.

달러인덱스는 100.081로 전날 대비 소폭 내렸지만, 사흘 연속 100선을 넘겼다.

동시에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39.18원으로, 전날 931.76원에 비해 7.42원 올랐다.

엔/달러 환율은 0.35엔 내린 157.15엔이었다.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 총재가 이날 국회에서 인플레이션 동향을 전제로 금리 인상을 이어갈 것임을 밝혔으나, 엔/달러 환율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가상자산 시장 역시 하락세를 피하지 못했다.

업비트 기준 1비트코인 가격은 1억2,791만 원으로 전일 대비 1.54% 하락하며 4월 21일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더리움도 1.77% 떨어져 416만8,000원에 거래됐다.

사진=연합뉴스

관련기사
저작권자 © PPSS ㅍㅍㅅㅅ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