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량 낮은 종목 노린 선행매매…2천건 기사로 시세 조작 정황
전·현직 기자 포함 15명 수사…금감원 “투자자, 공시 확인 필요”
금융감독원 자본시장특별사법경찰국이 거래량이 적은 종목을 집중 조명하는 기사를 작성해 주가를 인위적으로 올리고, 선행매매를 통해 막대한 부당 이득을 거둔 일당을 적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사건으로 전직 기자와 증권사 경력을 가진 전업 투자자 등 2명이 구속돼 검찰에 넘겨졌으며, 피의자 15명을 대상으로 추가 수사가 이어지고 있다.
금감원 특별사법경찰은 지난 3월 서울남부지검의 수사 지휘 아래 주요 언론사를 포함한 50여 곳에서 압수수색을 진행하는 등 강도 높은 조사를 펼쳤다.
특정 종목에 호재성 정보를 활용해 특징주로 부각하는 기사를 쓰고, 친분이 있는 기자들에게 기사를 제공받아 보도 이전에 미리 매수한 뒤, 기사 공개 직후 매도해 시세 차익을 실현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됐다.
주가는 기사로 자극을 받았고, 피의자들은 배우자나 가상의 명의로 차명계좌를 동원해 매매를 반복하며 부당 이득을 누적했다.
조사 결과, 2017년 이후 9년에 걸쳐 총 2천 건이 넘는 기사가 해당 방식으로 작성된 것으로 나타났고 부당 이득은 111억8천만원에 달했다.
금감원은 관련된 남은 피의자들에 대해서도 신속하게 수사를 이어갈 방침이다.
아울러 투자자들에게는 특징주·테마주·급등주로 보도되는 종목이라도, 반드시 공시 및 주가 상승 배경을 직접 확인한 뒤 신중히 투자 결정을 내릴 것을 당부했다.
관련기사
- ‘홈플러스 사태’ MBK파트너스에 중징계 예고…“국민연금 파장 확산 주목”
- 포스코 포항제철소 유해가스 사고…작업자 3명 중태, 이동렬 소장 보직해임
- ‘검은 금요일’…코스피 4% 폭락에 환율도 치솟았다
- 이재명 대통령 ‘샤인 이니셔티브’로 비전 공유...“한·중동 상생, 청년 교류가 핵심”
- ‘글로벌 위상 강화’…한국, 내년 OECD 각료이사회 부의장국으로 선출
- 신안 해역서 여객선 좌초 사고..."뉴스 보다가 조타 시점 놓쳐" 일등항해사·조타수 긴급체포
- 웃으며 한 제스처에 담긴 의미는...경기장에 퍼지는 '인종 차별의 그림자'
- 구글, 차세대 AI '제미나이3' 출시… 검색창에 바로 들어온 "역대 가장 똑똑한 모델"
- 오세훈 작심 반박 "국무총리, 광화문 '감사의 정원' 중단...공사 중단 지시는 부당"
- 천안 이랜드 물류센터 화재 사흘째... 완진까지 '최대 일주일' 전망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내 댓글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