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겨울 ‘평년 수준’ 전망…포근하지만 기습 한파 가능성도

기상청 3개월 전망 발표, 올겨울 기온은 평년과 비슷하거나 따뜻해

올겨울 기온은 평년과 비슷하거나 다소 높아 전반적으로 큰 추위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기온 변동성이 커 기습 한파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기상청이 24일 발표한 ‘3개월 전망’에 따르면, 12월부터 내년 2월까지 우리나라 기온은 평년과 비슷하거나 높은 경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12월과 1월의 평균기온은 평년과 비슷할 확률이 각각 50%, 높을 확률은 30%, 낮을 확률은 20%로 제시됐다. 2월에는 평년보다 높거나 비슷할 확률이 각각 40%로 나타났다.

올겨울 ‘평년 수준’ 전망…포근하지만 기습 한파 가능성도 / 사진=기상청
올겨울 ‘평년 수준’ 전망…포근하지만 기습 한파 가능성도 / 사진=기상청

기상청은 이러한 전망의 주요 원인으로 북대서양과 인도양의 해수면 온도 상승, 스칸디나비아반도 인근 해양 조건, 티베트 고원 눈 덮임 부족 등을 꼽았다. 해수면 온도가 높으면 북서태평양 대기 순환이 활발해지고, 이는 우리나라에 고기압성 순환을 강화시켜 기온 상승을 유도하게 된다.

또한 지속되는 온난화도 따뜻한 겨울을 예상케 하는 주요 요인으로 꼽혔다. 기상청에 따르면 과거 53년간 12월 기온은 평균 0.2도, 1월은 1.6도, 2월은 2.1도 상승했다.

기온 상승세와 함께 강수량도 평년 수준이나 다소 많은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12월은 강수량이 평년보다 적거나 비슷할 가능성이 각각 40%, 1월은 비슷할 확률이 50%, 2월은 비슷하거나 많을 확률이 각각 40%로 전망됐다. 기상청은 겨울철 기상 가뭄 가능성은 낮다고 밝혔다.

하지만 따뜻한 겨울이 지속될 것이라는 낙관론에만 의존하긴 이르다. 기상청은 기온의 일시적 급강하 가능성도 경고했다. 북극해 빙하 면적 감소, 라니냐 발달 가능성, 우랄산맥 인근 블로킹 현상 등이 발생할 경우, 북쪽의 찬 공기가 한반도로 내려와 갑작스러운 한파를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올겨울 ‘평년 수준’ 전망…포근하지만 기습 한파 가능성도 / 사진=기상청
올겨울 ‘평년 수준’ 전망…포근하지만 기습 한파 가능성도 / 사진=기상청

조경숙 기후예측과장은 "기온이 대체로 평년 수준이지만, 기습 한파와 지역적 폭설이 발생할 수 있다"며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엘니뇨·라니냐 조건을 관측하는 국제 기후 예측 모델들 역시 올해 겨울 동안 약한 라니냐 상태로 전개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이는 일부 기온 하강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기상청은 “보존된 해수면 온도, 라니냐 영향, 대기 순환 변화 등 다양한 요소를 면밀히 분석해 향후 변동성에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PPSS ㅍㅍㅅㅅ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