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년 만에 최대 낙폭’…금값시세 급락 속에서도 “상승 랠리 계속될 것”

전문가들, 무역협정 및 차익실현이 단기 급락 원인으로 분석
“장기적으로 금·은 가격 긍정적 전망”…불확실성 속 투자전략 주목

‘12년 만에 최대 낙폭’…금값시세 급락 속에서도 “상승 랠리 계속될 것”
‘12년 만에 최대 낙폭’…금값시세 급락 속에서도 “상승 랠리 계속될 것”

 

국제 금시세가 12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22일(현지시간) 시카고파생상품거래소그룹 산하 금속선물거래소 코멕스에서 12월 인도분 금 선물 가격은 전일 대비 5.7% 하락한 온스당 4,109.1달러로 거래를 마쳤다. 이날 금값은 온스당 4,371달러로 시작해 장중 한때 4,393.6달러까지 올랐으나 이후 급락세를 보였다.

은 시세도 크게 떨어졌다. 같은 날 12월 인도분 은 선물 가격은 전장보다 7.2% 하락한 온스당 47.7달러에 마감됐다.

허재환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다우존스 마켓데이터에서 금이 하루 동안 5% 넘게 하락한 사례는 2013년 6월 이후 처음"이라고 밝혔다. 그는 미국과 중국 간 무역협정에 대한 낙관론이 최근 안전자산 매도세의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미국과 호주의 희토류 무역협정 체결이 투자 기대감을 자극했다고 설명했다.

김석환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단기 급등에 따른 차익실현 매물이 출회되고, 달러 강세가 이어지면서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약화된 점이 금 가격 하락의 요인”이라며, 인도의 계절적 금 매수세 약화도 실물 수요 측면에서 부담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여기에 최근 미국 연방정부의 업무 정지로 인해 주요 경제지표 발표가 지연되면서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졌고, 인도의 대표적 힌두교 축제인 디왈리로 인한 현지 금 시장 휴장도 금값 하락에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전문가들은 이번 급락이 단기 조정일 뿐이며, 장기적으로 금과 은의 상승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올해 들어 금값은 약 60% 가까이 상승했으며, 일시적인 조정 국면을 지나 전체적인 상승 흐름은 여전히 유효하다는 분석이다. 옥지회 삼성선물 연구원은 “미국과 중국의 무역갈등이 완화되면서 뚜렷한 재료가 부족한 상황에서 매도와 저가매수 수요가 혼재하고 있다”며 “단시일 내 가격 변동성이 크지만 고점에 대한 부담과 랠리 기대가 동시에 나타난다”고 밝혔다.

박상현 iM증권 연구원도 “최근 가격 급등 자산에 차익실현 현상이 나타나는 점은 주의를 필요로 하지만, 금과 은에 대한 전망은 여전히 낙관적”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에 따른 실질금리 하락과 불확실성 리스크, 투자 수요 증가가 금값 랠리의 배경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사진 제공 = 연합뉴스

관련기사
저작권자 © PPSS ㅍㅍㅅㅅ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