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관세 협상 난항에 원화 약세, 단기 투자 방안도 대안 제기
외국인 증시 매도·달러 강세 동반…시장 불안감 확산

3천500억달러에 달하는 대미 투자 확정 여부를 둘러싼 불투명성이 계속되며, 원/달러 환율이 10월 23일 1,440원대로 치솟았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이날 오후 3시 30분 기준 원/달러 환율은 1,439.6원까지 올라서 전날보다 9.8원 상승했고, 장중 한때는 1,441.5원까지 오르며 지난 4월 29일 기록과 같았다. 지난 5월 2일 이후 1,440원대에 오른 것은 처음이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이날 연 2.50%의 기준금리를 동결했으나, 한미 간 관세 협상이 조속히 해결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환율을 더욱 끌어올리는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미국이 3,500억달러 투자 패키지의 선불을 요구하는 가운데,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과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은 10월 23일 미 상무장관 하워드 러트닉과 추가 논의를 진행했으나, 김 실장은 일부 진전이 있었으나 추가 협의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또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공개된 CNN 인터뷰에서 "시간이 조금 걸릴 것 같다"고 밝혔으며, 투자 방식과 규모에 대한 논의가 길어지면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는 평이 나온다.
환율 상승에는 외국인 투자자의 국내 주식 매도와 역외 달러화 매수도 영향을 미쳤다. 이날 코스피는 38.12포인트(0.98%) 하락한 3,845.56에 마감됐으며, 외국인들은 유가증권시장에서 4,072억원가량을 순매도했다.
엔화와 달러화의 환율도 영향을 미쳤다. 10월 23일 오후 3시 30분 기준 엔/달러 환율은 152.384엔으로 전일 대비 0.39% 올랐고, 달러인덱스도 99.008로 99대로 올라섰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이날 간담회에서 최근 환율 급등의 약 75%가 미·중 갈등에 따른 위안화 약세, 일본의 확장적 정책에 따른 엔화 약세, 그리고 우리나라와 관련된 관세 및 대미 투자 불확실성 등 복합 요인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추가적으로 한은이 자체적으로 연간 150억~200억달러의 외화 자금을 공급할 여력은 있으나, 실제 논의되는 250억달러 투자 방안은 이를 초과해 외환시장에 부담이 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시장에서는 당분간 환율 불안이 지속될 것이라는 관측과 함께, 미국과의 조기 합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더욱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1,440원 돌파’…환율 급등에 코스피 하락, “관세협상 지연 영향”
- ‘역내 금융 안전망’ 움직임 본격화…中·한·일 통화스와프, 확대 논의 주목
- ‘내로남불’ 지적에 부동산 민심 집중…국민의힘 “서민만 벼랑끝” 공세
- 김영웅이 날았다…삼성, 한화에 기적의 대역전 드라마
- ‘APEC서 한국 자율주행 기술 진수 선보인다’…경주서 세계 정상 이동 책임
- ‘법무부 명예 교도관 위촉’…장현성·장성규·장도연 “꼬꼬무 통해 범죄 예방 앞장설 것”
- 대리수술·불법 줄기세포 채취까지 낀 '병원-간납업체' 커넥션은?
- ‘K-방산 도전 선언’…이재명 “글로벌 4대 강국, 투자·지원으로 현실로 만들겠다”
- ‘APEC 정상회의 앞두고 전국 테러경보 격상’…24일부터 단계별 긴급 경계체제 돌입
- ‘부동산 투자처 다변화’…대통령실 “공급대책 차질없이, 주식시장 활성화 등 복합 추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