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정보공유로 금융사기 막는다’…130개 금융사 AI플랫폼 ‘에이샙’ 전격 가동

모든 금융회사·유관기관, 보이스피싱 정보 실시간 공유 체계 구축
“AI로 공동방어”…국제 사기조직·해외 계좌 차단 빨라진다

‘실시간 정보공유로 금융사기 막는다’…130개 금융사 AI플랫폼 ‘에이샙’ 전격 가동 / 사진=대한민국 정책브리핑
‘실시간 정보공유로 금융사기 막는다’…130개 금융사 AI플랫폼 ‘에이샙’ 전격 가동 / 사진=대한민국 정책브리핑

금융관련 범죄로 큰 사회적 우려를 낳았던 보이스피싱 피해 차단을 위해 130개 금융회사와 관계기관이 인공지능(AI) 기반의 보이스피싱 정보공유·분석 플랫폼인 '에이샙’을 29일 공식 출범시켰다.

이억원 금융위원장을 비롯해 국무조정실, 경찰, 금융감독원 등 정부 부처와 유관 기관, 각 금융협회장, 현장 전문가들이 출범식에 참석했으며, 이 자리에서는 최근 피해 발생 동향과 효과적인 대응 방향에 대해 논의가 진행됐다.

에이샙은 각 금융사와 통신·수사기관이 금융·통신 과정에서 포착한 보이스피싱 의심 정보 9개 유형, 90여개 항목에 대해 AI패턴분석을 접목해 실시간 연계·공유하는 시스템이 특징이다.

참여 금융사는 피해자 및 범죄에 사용된 계좌 관련 정보, 해외 의심 계좌, 위조 신분증, 피싱 사이트, 악성앱 정보 등 다양한 데이터를 공동 활용하며, 이를 통해 국제 사기조직과 해외 연계계좌에 빠르게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특히 피해자 계좌나 범죄 관련 계좌, 해외 계좌 등 고위험 정보는 참가한 모든 기관 사이에서 실시간으로 공유돼, 단일 금융사의 한계를 넘는 조직적 차단 효과가 기대된다.

금융보안원은 에이샙에서 모은 데이터로 금융권과 함께 인공지능 기반 공동 탐지모델을 개발하고, 금융사들이 직접 또는 API를 이용해 보이스피싱 탐지에 쓸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그동안 단편적으로 파악하던 의심 계좌정보가 전 금융권에 축적돼, 조직범죄에 대한 선제·전방위적 차단 시스템이 갖춰졌다.

AI를 이용한 최신 범죄 수법 탐지모형 공동 개발·공유를 통해, 모든 금융기관이 개별적으로 보이스피싱 침투를 대응하던 방식에서 전사적 협업체계로 전환될 전망이다.

아울러, 정보교환의 전산화 및 실시간 업무 프로세스가 구축되면서, 피해 계좌에 대한 구제 역시 한층 더 신속·체계적으로 진행될 수 있게 됐다.

에이샙 플랫폼은 앞으로 은행과 제2금융권, 통신사, 수사기관 등으로 참여기관을 더욱 확대하고, 통합대응단과의 협력으로 피해자를 지원하는 체계를 강화할 방침이다.

한편 이억원 금융위원장은 “금융사가 보이스피싱 방지 역량과 책임을 근본적으로 강화하고, 금융권이 AI 등 미래기술로 무장할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며, “정부와 유관기관, 업계가 긴밀히 소통·협업하는 체계를 확고히 하겠다”고 밝혔다.

사진=대한민국 정책브리핑

관련기사
저작권자 © PPSS ㅍㅍㅅㅅ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