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연준, ‘2회 연속 기준금리 인하’ 단행…12월 양적긴축 종료 예고로 시장 촉각

고용 둔화 판단에 기준금리 3.75~4.00%로…위원들 이견 속 향후 추가 인하는 불투명
파월 의장 “12월 정책, 정해진 경로 없다”…양적긴축 종료 발표로 단기 유동성 주목

‘미 연준, ‘2회 연속 기준금리 인하’ 단행…12월 양적긴축 종료 예고로 시장 촉각 / 사진=연합뉴스
‘미 연준, ‘2회 연속 기준금리 인하’ 단행…12월 양적긴축 종료 예고로 시장 촉각 / 사진=연합뉴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29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했다. 이에 따라 기존 4.00∼4.25%였던 기준금리는 3.75∼4.00%로 조정됐다.

이로써 지난달에 이어 연준의 기준금리 인하는 두 달 연속 이어지게 됐다. 연준은 이번 조치의 배경으로 최근 고용지표 둔화와 실업률 소폭 증가 등을 거론했다. FOMC 발표문에는 올해 들어 고용 증가세가 둔해졌으며, 8월까지 실업률이 낮은 수준을 보였으나 최근 하방 위험이 확대됐다는 평가가 포함됐다.

반면 연준은 물가 상승세가 여전히 뚜렷하다는 진단도 내렸다. 인플레이션이 연초 대비 높아졌고, 현재도 상당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날 기준금리 인하 결정은 FOMC 위원 12명 중 10명이 찬성한 반면 2명이 반대표를 던지면서, 위원회 내 의견이 엇갈렸다. 스티븐 마이런 연준 이사는 대폭 인하를, 제프리 슈미드 캔자스시티 연은 총재는 현행 유지안을 각각 주장했다.

이렇게 반대표가 ‘인하’와 ‘동결’로 갈린 것은 드문 일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올해 9월과 10월 두 차례에 걸쳐 기준금리가 인하됐지만, 12월 9∼10일로 예정된 연말 FOMC 회의에서 추가 인하가 이뤄질지는 확정되지 않았다.

연준은 연말 금리 인상 가능성에 신중한 입장을 내비쳤으며, 향후 발표되는 경제지표에 따라 방향을 결정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연준은 금리 결정에 있어 물가 안정과 고용 유지를 동시에 목표로 삼는다. FOMC 내에서는 고용시장 침체와 물가 상승 위험 가운데 어느 쪽의 우려가 더 큰지에 대한 논의가 이어지면서, 금리 인하 속도와 범위에 관한 이견이 다시 표면화됐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기자회견을 통해 “12월 회의 대응에 대해 위원들 간 의견 차이가 컸다”며, “정해진 정책 경로가 있는 것은 아니며, 추가 인하가 확정된 사안이라고 볼 수 없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FOMC 회의에서는 내달 1일부터 양적긴축(QT·대차대조표 축소) 정책을 종료하겠다는 결정도 함께 발표됐다. 양적긴축은 연준의 채권 보유분을 축소하는 방식으로 시중 유동성을 흡수하는 조치다. 이번 종료 결정은 단기 유동성 부족 및 팬데믹 이후 긴축 기조가 일정 부분 완화됐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양적긴축 종료가 미 국채 금리 하락을 불러오고, 금융시장 유동성에도 변화가 예상된다.

사진=연합뉴스

관련기사
저작권자 © PPSS ㅍㅍㅅㅅ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