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와 문화창조산업’…이재명 “신성장동력 확보로 아태 혁신 주도하겠다”

아태 정상들, ‘인공지능·인구변화 대응’ 협력 선언…APEC 3대 성과 문서 채택
이재명 “문화산업이 연결·혁신·번영 주도…AI 격차 해소에도 한국 중심적 역할”

‘AI와 문화창조산업’…이재명 “신성장동력 확보로 아태 혁신 주도하겠다” / 사진=대한민국 정책브리핑
‘AI와 문화창조산업’…이재명 “신성장동력 확보로 아태 혁신 주도하겠다” / 사진=대한민국 정책브리핑

이재명 대통령은 1일 제32차 APEC 정상회의 ‘리트리트’ 세션에서 인공지능(AI)과 인구구조 변화라는 시대적 도전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문화창조산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전날 열린 초청국과의 비공식 대화에 이어, 이날 열린 리트리트 세션을 직접 주재하면서 “대한민국은 급변하는 AI와 인구구조 변화에 적극 대응할 신성장동력으로 문화창조산업을 주목하고 있다”고 밝혔다.

‘리트리트’는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로운 논의의 장으로 마련된 APEC 세션으로, 이번 회의에는 회원 정상들만 참석했다. 각국 정상들은 AI의 급격한 발전과 인구문제, 문화·창의산업의 부상 등이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폭넓게 의견을 나눴다.

이재명 대통령은 개회사에서 아태 지역의 AI 대응 역량이 이미 세계적 수준임을 언급하며, AI 혁신을 촉진하고 민관 협력을 확대하는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그는 “글로벌 AI 기본사회 실현을 핵심 비전으로 삼아 누구나 기술 발전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한국이 제안한 ‘APEC AI 이니셔티브’가 급변하는 AI 환경을 기회의 장으로 만들겠다는 의지를 반영했으며, 추진 중인 ‘아태 AI센터’는 회원국 간 AI 역량 격차 해소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내다봤다.

인구구조 변화 문제에 대해서도 공동의 해법을 강구할 필요성을 언급하면서, “저출산과 고령화가 경제, 노동, 교육, 복지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APEC 차원의 협력을 촉구했다. 포용적 성장과 AI 활용 인구문제 대응 등 미래세대를 포함하는 다양한 방안 모색이 논의됐다.

문화창조산업의 성장 잠재력도 강조됐다. 이재명 대통령은 아태 지역이 이미 세계 문화창조산업 수출의 40%를 차지할 만큼 성장 엔진 역할을 하고 있다고 언급하며, 올해 처음 개최된 APEC 문화창조산업 고위급 대화의 의미를 짚었다. 그는 “문화의 창의성과 교류가 경제적 가치를 넘어 회원 간 이해와 연대를 강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회의에서 APEC 정상들은 대한민국의 제안에 따라 ‘경주선언’, ‘APEC AI 이니셔티브’, ‘APEC 인구구조 변화 대응 공동 프레임워크’ 등 3개의 성과 문서를 공식 채택했다.

APEC 정상회의 의장직은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에게 인계됐으며, 이재명 대통령은 중국 측의 원활한 의장직 수행을 위해 협조를 약속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마지막으로 “평화는 연결, 혁신, 번영 실현의 기반”임을 강조하고, “한반도 평화가 아태 지역 번영에 핵심적”이라는 점을 덧붙이며 회원국들의 지지와 협력을 당부했다.

사진=대한민국 정책브리핑

관련기사
저작권자 © PPSS ㅍㅍㅅㅅ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