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갭투자 막히자 전세대출 1년반 만에 최대폭 급감’…5대은행, 신용대출만 급증

주택담보대출 증가세 1년 만에 최저…부동산 규제 여파 뚜렷
“금리 인상에 연말까지 대출절벽 지속”…은행권 긴장 고조

정부가 부동산 시장 제한을 본격화하면서, 5대 은행을 중심으로 전세대출이 눈에 띄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5대 은행인 KB국민, 신한, 하나, 우리, NH농협 자료에 따르면, 10월 기준 전체 가계대출 잔액은 766조3,718억원으로 전달보다 2조2,769억원 증가했다. 이 증가 폭은 9월(1조1,964억원)의 두 배 수준이지만, 6월(6조7,536억원)과 비교하면 3분의 1에도 못 미쳤다. 7월·8월 기록에도 뒤처지는 수치다.

특히 주택담보대출 부문에서는 1조2,683억원 증가에 그치며, 1년 전 10월 이후 최저 증가세를 기록했다. 이는 정부가 토지거래허가구역을 서울과 수도권 주요지역으로 확대하고 15억원 초과 주택의 대출 한도를 2억~4억원으로 줄인 10·15 대책 영향 때문인 것으로 은행권은 분석하고 있다.

전세자금대출은 2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10월 한 달 동안 5,385억원 감소해, 2024년 4월 이후 약 1년 반 만에 가장 큰 감축 폭을 기록했다. 9월에도 이미 344억원 줄어든 바 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부동산 규제가 강화되자 갭투자 수요가 줄었고, 전세 공급보다 월세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다”고 전했다.

반면, 신용대출은 급격하게 늘었다. 103조8,079억원에서 104조8,598억원으로 1조519억원이 증가해, 주택담보대출 규제 반사효과가 신용대출 확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대출 금리 부담도 더해지고 있다. 10월 말 주요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혼합형(고정) 금리는 연 3.690~5.832%로, 8월 말 대비 최고 0.280%포인트 상승했다. 신용대출 금리도 같은 기간 연 3.610~5.100%로 올랐다. 이는 은행채 기준금리 상승 영향 때문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은행채 5년물과 1년물 금리는 각각 2.836%에서 3.115%, 2.509%에서 2.696%로 뛰었다.

KB국민은행은 이달 2일부터 주택담보대출 금리에 금융채 5년물 금리 인상 폭(0.13%p)을 추가 반영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해당 상품 금리는 3.88~5.28%로 오르게 된다.

은행권에서는 “정부 규제와 시장금리 인상으로 최소 연말까지 대출절벽이 이어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규제도 엄격하게 작동해, 금리 오름세가 대출 한도를 더욱 제한하는 상황이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정책의 영향에 은행이 대출 금리까지 인위적으로 낮추기 어려워진 만큼 당분간 대출 분위기는 풀리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사진=연합뉴스

관련기사
저작권자 © PPSS ㅍㅍㅅㅅ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