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 2700여 개 사업 한 곳에…인증서 21종 ‘원스톱 발급’
AI가 사업계획서 자동작성…불법 브로커도 탐지 체계 마련
중소벤처기업부가 중소기업 지원사업을 한 번에 확인하고 신청까지 가능한 AI 기반 ‘통합지원 플랫폼(가칭 기업마당)’을 도입하기로 했다.
이번 플랫폼으로 기업들은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내놓는 2700여 개의 지원사업 정보를 한 곳에서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소기업 확인서와 벤처기업확인서를 포함해 21종의 인증서도 통합 발급받을 수 있게 된다.
로그인은 한 번만 하면 되고, 37개 중기부 채널 외에도 단계적으로 타 부처의 신청 시스템과도 연동될 예정이다.
신설될 플랫폼은 AI가 각 기업의 업종, 지역, 혜택 이력과 지나온 검색 내용을 분석해, 최적화된 지원사업을 기업과 소상공인에게 자동 추천하는 기능이 중심이 된다. 그간 기업들이 여러 사이트를 찾아다니면서 각종 지원사업 정보를 일일이 비교해야 했던 번거로움이 크게 줄어들 전망이다.
수출기업에는 맞춤형 수출국가 및 관세정보, 소상공인에겐 상권 분석 자료, 제조기업에는 적합한 기술 공급 기업 추천 등 필요에 맞춘 특화 정보도 제공한다.
AI는 사업계획서 작성 작업에도 활용된다. 사업자등록번호와 희망하는 지원사업, 그리고 주요 키워드만 입력하면, AI가 우수 사례를 바탕으로 10~20쪽 분량의 맞춤 사업계획서 초안을 자동 생성해 줄 계획이다.
행정서류 제출 부담도 크게 완화된다. 사업 지원 신청 시 요구되던 서류 개수는 현재 평균 9개에서 4.4개로 절반 이상 줄어들 전망이다. 행정정보공동이용이나 공공마이데이터와 연계해 사업자등록증, 재무제표 등은 기관이 직접 확인하도록 체계가 개선되며, 현재 43%인 연계율을 내년 96%로 높일 계획이다.
또한, 중기부는 불법 브로커의 대리 신청이나 기관 사칭을 막고자 13개 지방중소벤처기업청과 7개 산하기관에 부당 개입 예방, 신고 채널을 신설한다. AI가 브로커들이 작성한 사업계획서를 자동 판별하는 기술도 적용된다.
정부 사칭, 허위서류 제출, 보험상품 강매 등 불법행위는 유형별로 정해 엄격히 제재할 방안도 추진된다.
벤처캐피털이 선투자하는 스타트업을 정부가 ‘매칭 지원’하는 TIPS 프로그램도 확대되고, 글로벌 대기업들이 직접 유망 스타트업을 발굴·협력하는 ‘오픈 이노베이션’이 강화될 예정이다.
AI가 기술평가와 특허 데이터를 학습한 ‘K-TOP 평가플랫폼’이 연구개발(R&D), 스마트공장 등 10개 사업의 선정 과정에 도입돼 평가의 객관성과 효율성을 높인다. 여기에 금융시장과 연결된 기술보증-대출 연계형 ‘원스톱 기술금융’ 체계도 구축된다.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공공 서비스 역시 혁신이 필요하다”며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이 직관적이고 친숙하며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 체계를 사람 중심으로 대폭 개편하겠다”고 말했다.
사진=대한민국 정책브리핑

- '홈런왕 6회' 박병호, 은퇴 선언...이제는 지도자로
- APEC 정상회의, 경주선언·AI 이니셔티브·인구구조 대응 프레임워크 채택
- LG 트윈스, 2년 만에 KS 왕좌 탈환…김현수 맹타에 ‘V4’ 완성
- 동양레저 강선 대표, 750명 주주 기만 논란...“주주 돈으로 ‘밀실 인수’?”
- ‘한미 관세협상 극적 타결’…증권가 “성공적 외교로 한국 증시에 훈풍”
- ‘1억 금품수수 의혹’…강호동 농협중앙회장, 출국금지 조치
- ‘차기 회장 선임 절차 돌입’…우리금융 임원후보추천위 공식 개시
- ‘2조6천억 인수금융 주도’…우리은행, SK이노 자회사 대형 거래 성사
- ‘글로벌 AI·디지털 리더 총출동’…젠슨 황 등 1700명 경주 집결
- ‘코리아 전담반’ 11월 본격 가동…한-캄보디아 정상 “스캠 범죄 공동 대응 합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