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표로 220억 숨겼다…국세청, 'K팝 티켓' 부당이득 처벌 전격 조사

중고거래·SNS 통해 수년간 암표 거래…220억 이상 수익 누락 정황
대리 예매 조직까지 드러나…공공기관 종사자 포함 17명 세무조사

암표 시장의 탈루 실태에 대한 정부의 전방위적 조사가 시작됐다.

국세청은 6일 암표업자에 대한 대규모 세무조사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티켓 거래 플랫폼에서 거래량 상위 1%에 해당하는 전문 암표업자들과 관련 법인 3곳을 포함한 총 17개 업자를 대상으로 진행되며, 국세청이 암표 거래를 상대로 기획 세무조사를 벌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조사에 따르면, 여행사 A사는 중고거래형 암표업체 B사에 티켓당 10만 원의 수수료를 지급하고 K팝 콘서트 티켓을 대량 확보한 뒤, 한류 관광객에게 정가의 2.5배 가격에 재판매해 총 100억 원 규모의 미신고 매출을 발생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암표업자 C씨는 사업자 등록 없이 중고거래 커뮤니티와 개인 SNS를 통해 명품 잡화 및 공연, 스포츠 경기 입장권을 판매했다. 그는 대금을 개인 계좌로 수취하고도 국세청에 소득을 신고하지 않았으며, 5년간 약 30억 원을 신용카드로 소비하고 5억 원 상당의 해외 주식을 보유한 사실이 확인됐다.

안덕수 국세청 조사국장은 "상위 1% 판매자의 연간 거래 건수를 현저히 초과하는 전문 암표상 중 탈루 혐의가 짙은 자들을 선정했다"고 밝히며, "공공기관 종사자 4명과 사립학교 교사 3명을 포함한 17명이 조사 대상"이라고 설명했다. 이들 가운데 일부는 각각 4억 원, 3억 원이 넘는 부당소득을 올린 것으로 확인됐다.

국세청은 이들이 신고하지 않은 암표 물량이 최소 220억 원에 달하며, 거래 수법은 주로 웃돈을 얹은 중고거래형 방식으로 진행됐다고 밝혔다. 수년간 4만 건 이상의 입장권을 재판매하며 정가의 최대 30배에 이르는 폭리를 취한 사례도 포함됐다. 이들은 게시글을 삭제하고 판매 완료 처리를 누락하는 방식으로 흔적을 감췄다.

한편, 대리 티켓팅을 전문으로 운영하는 조직도 확인됐다. 이들은 매크로 프로그램을 이용하거나, 빠른 예약이 가능한 링크를 티켓 희망자에게 판매하는 등 조직적이고 전문적인 형태로 운영됐으며, 일부는 '창업중소기업 세액감면' 혜택까지 받으며 고수익을 챙긴 것으로 드러났다.

국세청은 이번 조사를 통해 암표업자들의 수익 내역, 자금 흐름, 은닉 재산 등을 철저히 확인할 방침이다. 특히 금융정보분석원(FIU) 정보를 활용해 현금 흐름을 추적하고, 탈루세금을 추징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안 국장은 "조세포탈 혐의가 확인되면 조세범 처벌법에 따라 고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암표 거래에 대한 강도 높은 조사는 정부 차원에서 암표 시장 근절 의지를 명확히 드러낸 사례로 평가되며, 관련 제도 개선 요구도 더욱 커지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관련기사
저작권자 © PPSS ㅍㅍㅅㅅ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