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미 투자’ 여파에 외환보유액 10위권 이탈하나…‘싱가포르와 격차 290억달러’

외환보유액 증가폭 둔화…연간 200억달러 현금 투자 영향 주목
“10위권 내 유지 불안”…대미 투자로 세계 순위 첫 하락 우려

‘대미 투자’ 여파에 외환보유액 10위권 이탈하나…‘싱가포르와 격차 290억달러’ / 사진=연합뉴스
‘대미 투자’ 여파에 외환보유액 10위권 이탈하나…‘싱가포르와 격차 290억달러’ / 사진=연합뉴스

한국은행 자료에 따르면 9월 말 현재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은 4천220억달러로 집계돼, 세계 9위 수준을 기록했다.

올해 3월에는 10위까지 떨어졌으나 이번 집계에서 다시 9위로 소폭 회복됐다.

다만 외환보유액은 2021년 연말 4천631억달러, 2022년 4천232억달러에서 이어 2023년 말 4천202억달러, 2024년 말 4천156억달러로 하락세를 이어왔다.

게다가 올해 2월부터 5월 사이에는 4천100억달러 밑으로 떨어진 적도 있었으며, 5월 말에는 4천46억달러로 2020년 4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주요국 외환보유고 동향을 살펴보면 한국의 10위 수성에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다.

한국 외환보유액은 전년 말 4천156억달러에서 9월 말 4천220억달러로 1.5% 증가하는 데 그쳤다.

10위권 내 국가 가운데 홍콩을 제외하면 가장 낮은 증가율이다.

이 기간 동안 중국은 4.3%, 일본 9.0%, 스위스 16.0%, 인도 10.1%, 러시아 17.1% 등 상당한 증가세를 보였다.

특히 독일은 1년 새 35.2%나 늘어 8위로 두 단계 상승했다.

외환보유액 산정시 금 보유액을 시가로 평가하는 방식에서 독일은 금 비중이 상대적으로 크다는 점이 두드러진다.

반면, 9월 말 기준 한국 다음 순위인 싱가포르는 3천931억달러로 10위 홍콩(4천191억달러)에 근접해 있다.

한국과 싱가포르 간 격차는 약 290억달러에 불과하다.

정부가 3천500억달러에 달하는 대미 투자 계획 중 2천억달러를 현금으로 집행하기로 하면서, 연간 투자 한도를 200억달러로 미국 정부와 조율했다.

연간 200억달러는 외화 운용 수익에서 주로 충당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외환보유액에서 발생하는 이자·배당 등 이익이 원금으로 누적되지 않고 미국으로 이전되면서, 실질적 외환보유액 증가세가 약화될 것으로 관측된다.

한국이 10위권에서 벗어나면 이는 외환위기 이후 처음으로 기록되는 변화다.

2000년 말만 해도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은 962억달러였으며, 당시 세계 5위를 차지했다.

한편 일각에서는 외환보유액이 일시 감소하더라도 원화가치에 단기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미국 투자로 발생한 수익이 곧바로 국내에 유입될 가능성 등도 중장기적으로 고려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관련기사
저작권자 © PPSS ㅍㅍㅅㅅ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