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기 전역 규제 강화로 분양전망지수 큰 폭 하락
"고강도 정책에 실수요자도 관망세…미분양 우려↑"

이달 수도권을 비롯한 전국 아파트 분양 시장에 냉각 기류가 확산되고 있다.
주택산업연구원은 6일, 최근 전국 주택 사업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에서 11월의 아파트 분양전망지수가 72.1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이는 전월 대비 19.4포인트나 낮아진 수치다.
분양전망지수가 100을 밑돌면 부정적으로 전망하는 응답자가 더 많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번 조사에서는 수도권의 하락세가 특히 두드러졌다.
수도권 분양전망지수는 전달보다 26.9포인트 줄어든 73.3을 기록하면서 서울·경기·인천 모든 지역에서 큰 폭의 하락이 나타났다. 각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이 26.3포인트 내려간 84.8, 경기는 27.4포인트 하락한 69.7, 인천은 27.1포인트 떨어진 65.2로 조사됐다.
지난달 정부가 내놓은 '10·1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에서 서울 25개 구와 경기 12개 지역을 규제지역으로 지정하고, 다양한 금융 규제를 강화한 영향이 분양 시장에 즉각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주택산업연구원은 이번 고강도 규제 외에도 보유세 등 세제 개편 가능성까지 언급되며, 수도권 아파트 매수 심리가 전반적으로 얼어붙었다고 진단했다. 이에 따라 당분간 분양 시장이 위축 국면에 접어들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한편, 비수도권의 아파트 분양전망지수도 전달 대비 17.7포인트 하락한 71.9에 그쳤다. 울산(71.4), 강원(55.6), 충북(55.6)의 낙폭이 특히 크게 나타났으며 주택산업연구원은 수도권 규제가 심화되자, 다주택자들이 비수도권에서 주택을 매각하는 경향도 늘어난 것으로 분석했다.
이와 더불어, 11월의 아파트 분양가격전망지수는 100.0으로 전달보다 6.2포인트, 분양물량전망지수는 79.7로 9.7포인트 각각 하락했다. 이는 정부 규제와 시장 수요 둔화로 인해 신규 주택공급과 분양가 전망 모두 수축된 측면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반면 미분양물량전망지수는 지난달보다 8.9포인트 오른 98.5를 나타내며 미분양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높아졌다.
주택산업연구원은 이처럼 주택 공급 전망이 악화됨에 따라 사업자들이 신규 분양 공급을 신중하게 검토하고 있으며, 실수요자를 중심으로 청약 시장의 관망세가 확산될 것으로 내다봤다.
사진=연합뉴스
- 李대통령의 AI 선언…728조 예산으로 ‘미래산업 대전환’ 예고
- '동양레저' 자금운용 논란 법정 간다...강선 대표 ‘친정’에 800억 예치?
- '홈런왕 6회' 박병호, 은퇴 선언...이제는 지도자로
- APEC 정상회의, 경주선언·AI 이니셔티브·인구구조 대응 프레임워크 채택
- LG 트윈스, 2년 만에 KS 왕좌 탈환…김현수 맹타에 ‘V4’ 완성
- 동양레저 강선 대표, 750명 주주 기만 논란...“주주 돈으로 ‘밀실 인수’?”
- ‘한미 관세협상 극적 타결’…증권가 “성공적 외교로 한국 증시에 훈풍”
- ‘1억 금품수수 의혹’…강호동 농협중앙회장, 출국금지 조치
- ‘차기 회장 선임 절차 돌입’…우리금융 임원후보추천위 공식 개시
- ‘2조6천억 인수금융 주도’…우리은행, SK이노 자회사 대형 거래 성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