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위정보로 촉발된 실제 피해 사례들 포럼서 공개
감염병 인포데믹 공동 대응 위한 협력 체계 구축

정부와 민간, 학계가 감염병 인포데믹 대응 강화를 위한 공동 대응 체계를 구축했다.
6일, 서울 그랜드센트럴에서 열린 ‘감염병 인포데믹 대응을 위한 위기 소통 협력 포럼’에서 질병관리청, 대한감염학회, 한국언론학회,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는 공동선언문을 채택하고, 향후 신종 감염병 발생 시 허위·조작 정보 확산에 대응하기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인포데믹은 정보(Information)와 전염병(Epidemic)의 합성어로, 잘못된 정보가 빠르게 확산되며 사회적 혼란과 불안을 유발하는 현상을 뜻한다. 이번 포럼은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며 드러난 정보 왜곡 문제에 공동 대응하기 위해 정부 부처와 각 분야 학회, 디지털 플랫폼 단체가 함께 참여한 행사였다.
질병청은 실질적인 인포데믹 피해 사례도 공유했다. 지난 2020년 3월, 한 교회 목사가 "소금물이 코로나19를 예방한다"는 허위 정보를 믿고, 예배자들에게 소독하지 않은 분무기로 소금물을 분사해 70여 명이 집단 확진된 사례가 있었다. 또 한 40대는 "메탄올이 코로나19를 소독한다"는 주장을 믿고 메탄올을 실내에 뿌려 본인과 자녀 2명이 중독돼 병원에 이송됐다. 2021년 12월에는 한 산부인과 의사가 "특수입체현미경으로 백신을 관찰하니 괴생명체가 나왔다"고 주장한 사례도 소개됐다.
질병청에 따르면, 2022년 한 조사에서 인포데믹으로 인한 사회적 불편 비용은 약 8085억 원에 달한 것으로 추산됐다. 이에 따라 공동선언문은 감염병 위기 시 신속·정확·투명한 정보 공유, 과학적 근거 기반의 정보 검증과 전문 지식 역량 지원, 디지털 플랫폼의 책임 있는 역할 강화, 상시 소통 체계 구축 및 공동 대응 체계 마련 등을 핵심 내용으로 담고 있다.
임숙영 질병청 차장은 "팬데믹을 거치며 과학적 사실이 왜곡되거나 확인되지 않은 정보가 빠르게 퍼질 때 국민의 불안과 혼란으로 더 큰 사회적 피해가 발생한다는 것을 경험했다"며 "정확한 정보와 투명한 소통으로 근거 기반의 정보 확산 체계를 더욱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또 "감염병 확산을 막는 것은 방역이지만, 인포데믹을 막는 힘은 신뢰에서 비롯된다"고 말하며, 기관 간 역할 분담과 공동 대응 시스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사진=연합뉴스
- 트럼프 관세의 운명은? 대법원 심리 시작에 긴장 고조
- ‘YTN 헐값 매각’ 논란에…김민석 총리 “정부 자산 즉시 전수조사 지시”
- 李대통령의 AI 선언…728조 예산으로 ‘미래산업 대전환’ 예고
- '동양레저' 자금운용 논란 법정 간다...강선 대표 ‘친정’에 800억 예치?
- '홈런왕 6회' 박병호, 은퇴 선언...이제는 지도자로
- APEC 정상회의, 경주선언·AI 이니셔티브·인구구조 대응 프레임워크 채택
- LG 트윈스, 2년 만에 KS 왕좌 탈환…김현수 맹타에 ‘V4’ 완성
- 동양레저 강선 대표, 750명 주주 기만 논란...“주주 돈으로 ‘밀실 인수’?”
- ‘한미 관세협상 극적 타결’…증권가 “성공적 외교로 한국 증시에 훈풍”
- ‘1억 금품수수 의혹’…강호동 농협중앙회장, 출국금지 조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