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자·수수료 수익 ‘최고치’에도 건전성 지표는 사상 최악
취약차주 원리금 상환 부담 지속…“대손충당금·부실 채권 매각 확대”
4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가 올해 3분기까지 15조원이 넘는 이자 및 수수료 수익을 거두며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고금리와 장기간 지속된 저성장이 겹치면서 자영업자와 중소기업 등 취약차주들의 원리금 상환 부담이 심화됐고, 이에 따라 금융권의 자산 건전성은 빠르게 악화된 것으로 집계됐다.
9일 공개된 지주별 실적 자료에 따르면, 올해 3분기 말 기준 4대 금융지주의 요주의여신(연체 1~3개월)은 18조3,490억원에 달해 2019년 1분기 통계 집계 시작 이래 최대 규모를 보였다.
고정이해신(NPL, 연체 3개월 이상)의 규모도 9조2,682억원을 기록해 직전 분기 대비 소폭 감소했지만, 1년 전 같은 기간과 비교해 18%나 증가했다.
이로 인해 전체 대출 중 고정이해신 비율(NPL 비율)은 0.72%를 나타내면서 올 1분기 및 2분기와 비슷한 수준으로, 기록적으로 높은 상태가 유지됐다.
부실을 감당하는 능력을 가늠하는 NPL커버리지비율(대손충당금 잔액/고정이해신) 역시 역대 최저치인 123.1%까지 하락했다. 이는 지난해 3분기 말 대비 18.5%포인트 급락한 수치다.
각 금융지주가 올해 들어 3분기까지 쌓은 대손충당금은 5조6,296억원으로, 2019년 이후 같은 기간 기준 사상 최대로 집계됐다.
또한 4대 은행은 올 들어 3분기까지 총 4조6,461억원 규모의 부실채권을 상각 및 매각 처리해, 관련 통계 집계가 시작된 2018년 이래 가장 많은 금액을 기록했다.
은행권은 3개월 이상 연체된 대출을 고정 이하의 부실채권으로 분류해 회수 가능성에 따라 상각하거나 자산유동화 회사 등에 매각하고 있다.
건전성 지표가 급락한 원인으로 금융업계에서는 수년간 지속된 한국 경제의 부진한 성장과, 고금리에 따른 취약차주들의 상환 부담이 꼽힌다고 설명했다.
한 금융지주 관계자는 최근 경기 회복이 일부 대기업과 수출기업에 집중된 데다, 환율 등 외부 변수와 부동산·가계부채 관리 강화로 기준금리 인하가 늦춰지면서 서민과 중소기업이 부담을 크게 느끼고 있다고 풀이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미국의 관세 정책 등으로 무역 환경의 불확실성이 남아 있는 데다, 경기 회복도 부진해 고위험 업종과 한계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부실이 지속적으로 누적되고 있다"고 전했다.
향후 전망에 관해 업계 일부에서는 증시와 소비 진작 정책 등으로 경기가 점차 개선될 경우, 금융권의 여신 건전성도 동시에 호전될 가능성을 내놓고 있다.
반면, 경제 성장률이 잠재수준을 크게 밑돌 것으로 보여 뚜렷한 한계 차주 감소나 금융권 건전성 회복에는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신중론도 제기된다.
금융지주들은 고금리 고객에 대한 금리 감면, 취약차주 채무재조정 등 포용금융 프로그램을 통해 선제적으로 건전성 악화를 막겠다고 밝혔다.
또한, 추가 대손충당금 적립 및 부실채권 상각·매각 확대를 통해 NPL 감소에 주력하겠다는 계획도 내놨다.
- ‘통계 조작’ 의혹에 부동산 대책 정면충돌…국민의힘·개혁신당 “진상 밝혀라” 민주당 “정쟁 중단해야”
- 트럼프 관세의 운명은? 대법원 심리 시작에 긴장 고조
- ‘YTN 헐값 매각’ 논란에…김민석 총리 “정부 자산 즉시 전수조사 지시”
- 李대통령의 AI 선언…728조 예산으로 ‘미래산업 대전환’ 예고
- '동양레저' 자금운용 논란 법정 간다...강선 대표 ‘친정’에 800억 예치?
- '홈런왕 6회' 박병호, 은퇴 선언...이제는 지도자로
- APEC 정상회의, 경주선언·AI 이니셔티브·인구구조 대응 프레임워크 채택
- LG 트윈스, 2년 만에 KS 왕좌 탈환…김현수 맹타에 ‘V4’ 완성
- 동양레저 강선 대표, 750명 주주 기만 논란...“주주 돈으로 ‘밀실 인수’?”
- ‘한미 관세협상 극적 타결’…증권가 “성공적 외교로 한국 증시에 훈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