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제 금값과 원/달러 환율이 동시에 급등하며 국내 금 소매가격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9일 기준 국내 금값은 1돈(3.75g)에 81만 원을 돌파하며 고공행진을 이어갔다. 이는 지난 주말 국제 금시세와 7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원/달러 환율이 반영된 결과다.

지난 7일(현지시각) 미국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금 현물 가격은 전일 대비 0.60% 오른 온스당 4,000.98달러에 마감됐다. 이는 심리적 저항선으로 여겨졌던 4,000달러를 넘어선 수치로, 국제 금값이 사상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번 금값 상승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 가능성에 대한 시장 기대가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같은 날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는 4.11% 수준으로 하락했고, 달러 인덱스(DXY)는 99.55로 떨어지며 약세를 보였다. 시장 분석에 따르면 오는 12월 금리 인하 확률은 90%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은 이자가 없는 자산이기 때문에 금리가 낮아질수록 투자 매력도가 상승한다. 여기에 미·중 무역 갈등, 중동 및 러시아 관련 지정학적 불안정성까지 더해지며 안전자산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국내에서는 원화 약세가 금값 상승을 더욱 부추겼다. 지난 7일 서울 외환시장 야간 거래에서 원/달러 환율은 1,461.5원을 기록하며 4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국내 금 시세는 국제 금값에 환율을 곱해 산정되기 때문에, 두 지표가 동시에 상승할 경우 체감 가격 상승폭은 더욱 커진다.
이번 환율 급등은 외국인 투자자들이 코스피 시장에서 7조 원 넘는 주식을 순매도하며 대규모 달러 환전을 진행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전문가들은 현재 금값이 단기적으로는 차익 실현 매물로 인한 변동성 확대가 예상되지만, 장기적으로는 강세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각국 중앙은행들의 지속적인 금 매입,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지속 등이 그 배경으로 지목됐다.
향후 국내 금값의 단기 흐름은 국제 시세뿐 아니라 외국인 자금 이탈 추이에 따른 환율 변동성에도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 염경엽 재계약, ‘KBO 감독 3년 30억’ 최고 기록
- ‘통계 조작’ 의혹에 부동산 대책 정면충돌…국민의힘·개혁신당 “진상 밝혀라” 민주당 “정쟁 중단해야”
- 트럼프 관세의 운명은? 대법원 심리 시작에 긴장 고조
- ‘YTN 헐값 매각’ 논란에…김민석 총리 “정부 자산 즉시 전수조사 지시”
- 李대통령의 AI 선언…728조 예산으로 ‘미래산업 대전환’ 예고
- '동양레저' 자금운용 논란 법정 간다...강선 대표 ‘친정’에 800억 예치?
- '홈런왕 6회' 박병호, 은퇴 선언...이제는 지도자로
- APEC 정상회의, 경주선언·AI 이니셔티브·인구구조 대응 프레임워크 채택
- LG 트윈스, 2년 만에 KS 왕좌 탈환…김현수 맹타에 ‘V4’ 완성
- 동양레저 강선 대표, 750명 주주 기만 논란...“주주 돈으로 ‘밀실 인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