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11월 철원, 태백, 고성 직접 거주... 인근 영월, 삼척, 속초까지 현안 청취
약 40개 단체와 300여 명 이상 만나 지역 맞춤형 과제 수렴
지역 역사 반영부터 다문화, 체육, 예술, 진로 지원까지 제안 다양

주민 곁에서 듣고 기록하는 강삼영 전국교육자치혁신연대 대표의 현장 행보가 지역 교육 의제를 빠르게 끌어올리고 있다.
강삼영 대표는 지난 9월부터 11월까지 철원(지난 9월 15~21일), 태백(지난 10월 20~26일), 고성(지난 11월 3~9일) 등 세 번에 걸쳐 강원도 중소도시에서 ‘1주일 살기’를 진행했고, 인근 영월·삼척·속초까지 발걸음을 넓혀 교육 현안을 직접 청취했다. 차기 강원도교육감 선거의 유력 후보인 그는 그동안 강조해온 ‘지역 맞춤’ 교육 철학을 현장에서 실행에 옮겼다.
현장 만남은 폭넓었다. 교육·정치·경제·문화·체육계 인사와 약 40개 관련 단체, 300명 넘는 주민과의 간담회가 이어졌고, 학교 현장과 지역 공동체가 체감하는 지역의 실질적이고 현실적인 과제와 대안이 모였다.
강삼영 대표는 "비록 1주일이라는 시간이 짧기는 했지만, 지역의 교육 현안과 지역민의 바램을 좀 더 정확히 이해하고 파악할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었다” 며 성과를 평가했고, "지역에서 만난 학부모님들 모두가 교육청의 ‘불통’을 이구동성으로 하소연했다" 며 현 교육청의 소통 부재를 지적했다.
강삼영 대표가 받은 제안을 보면 ▲지역 역사(탄광지역/접경지역)를 교육에 반영 ▲세밀하고 섬세한 다문화 교육 ▲청소년의 날에 대한 예산 지원 ▲해체 수준의 마을교육 활성화 ▲학교 체육 활성화 및 특기 체육 지원 ▲학교 예술 분야 적극 지원 ▲질 높은 진로/진학 지도 ▲지역 출신 교사, 장학사 제도 ▲학부모 교육 활성화 및 지역 교육단체 지원 ▲학교 복지사 증원 ▲교육환경 개선 등이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정책 제안이 쏟아져 나왔다.
간담회에 참석한 지역 주민들은 강삼영 대표의 '1주일 살기' 에 대해 ‘지역에 대한 애정과 관심’을 적극적으로 보인 것이라며 호의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강삼영 대표 또한 ‘지역사회와 함께 하는 강원교육’은 필연적 방향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지역사회와 함께 하는 강원교육’을 방향으로 제시하는 강삼영 대표는 이번 ‘1주일 살기’를 마무리한 뒤에도 지역사회와의 상시 소통을 지속하고, 다른 지역에 대한 스킨십을 확대해 제안 과제를 정책 설계로 구체화한다는 계획이다.
사진=전국교육자치혁신연대
- 염경엽 재계약, ‘KBO 감독 3년 30억’ 최고 기록
- ‘통계 조작’ 의혹에 부동산 대책 정면충돌…국민의힘·개혁신당 “진상 밝혀라” 민주당 “정쟁 중단해야”
- 트럼프 관세의 운명은? 대법원 심리 시작에 긴장 고조
- ‘YTN 헐값 매각’ 논란에…김민석 총리 “정부 자산 즉시 전수조사 지시”
- 李대통령의 AI 선언…728조 예산으로 ‘미래산업 대전환’ 예고
- '동양레저' 자금운용 논란 법정 간다...강선 대표 ‘친정’에 800억 예치?
- '홈런왕 6회' 박병호, 은퇴 선언...이제는 지도자로
- APEC 정상회의, 경주선언·AI 이니셔티브·인구구조 대응 프레임워크 채택
- LG 트윈스, 2년 만에 KS 왕좌 탈환…김현수 맹타에 ‘V4’ 완성
- 동양레저 강선 대표, 750명 주주 기만 논란...“주주 돈으로 ‘밀실 인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