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재→유예... 중국의 급선회, 한화오션에 남은 변수는?

물류·조선업 보복 제재 1년 유예
트럼프-시진핑 회담 후속 조치

중국이 한화오션의 미국 자회사 5곳에 대한 제재를 1년간 유예하기로 결정했다.

이 조치는 지난 10월 30일 부산에서 열린 미중 정상회담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간의 합의에 따른 것이다. 양국 정상은 이 회담에서 무역 전쟁의 확전을 자제하기로 합의했다. 이에 따라 중국 상무부는 10일부터 발효되는 제재 조치를 1년간 유예한다고 발표했다.

중국 상무부는 홈페이지를 통해 "미국이 10일부터 중국에 대해 시행하는 해사·물류·조선업 관련 무역법 301조 조사를 1년 유예하기로 했다"며 이와 관련하여 한화오션의 미국 자회사 5곳에 대한 제재를 유예한다고 밝혔다. 유예 대상은 한화필리조선소, 한화쉬핑, 한화오션USA인터내셔널, 한화쉬핑홀딩스, HS USA홀딩스다.

백악관은 지난 1일 발표한 팩트시트에서 "중국은 미국의 해운·물류·조선업 지배력 강화에 대한 301조 조사 발표에 대한 보복 조치를 철회하고 여러 해운 업체에 부과한 제재를 해제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화오션은 이번 유예 조치에 대해 환영의 뜻을 전하며 "이번 유예조치로 인해 중국 측 사업 파트너들과의 관계가 더욱 발전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중국은 지난 10월 14일 미국 무역대표부(USTR)의 301조 조사에 협력했다는 이유로 한화오션의 미국 자회사 5곳을 제재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당시 중국 상무부는 "한화오션 미국 자회사는 미국 정부의 무역법 301조 조사 활동에 협조하고 지지해 중국의 주권과 안보, 발전 이익에 위해를 끼쳤다"며 불만을 드러냈다.

제재의 실효성에 대한 평가도 있었다. 업계 관계자는 "한화오션 자회사들은 투자하려고 거쳐가는 성격으로, 한화쉬핑 정도가 실제적으로 사업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지만 이제 발주한 상황이라 배를 실제로 받아서 운항하려면 시간이 많이 걸린다"며 제재의 영향이 제한적이었다고 분석했다.

한화오션 제재 유예는 미중 간 무역 갈등 완화의 일환으로, 향후 해운·물류·조선업 분야에서의 양국 협력 확대 가능성도 제기된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이재명 대통령과 시진핑 국가주석이 한화오션 제재 문제를 두고 생산적 논의를 했다"며 긍정적인 진전을 기대한다고 언급했다.

사진=한화오션

관련기사
저작권자 © PPSS ㅍㅍㅅㅅ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