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조선업 보복 제재 1년 유예
트럼프-시진핑 회담 후속 조치

중국이 한화오션의 미국 자회사 5곳에 대한 제재를 1년간 유예하기로 결정했다.
이 조치는 지난 10월 30일 부산에서 열린 미중 정상회담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간의 합의에 따른 것이다. 양국 정상은 이 회담에서 무역 전쟁의 확전을 자제하기로 합의했다. 이에 따라 중국 상무부는 10일부터 발효되는 제재 조치를 1년간 유예한다고 발표했다.
중국 상무부는 홈페이지를 통해 "미국이 10일부터 중국에 대해 시행하는 해사·물류·조선업 관련 무역법 301조 조사를 1년 유예하기로 했다"며 이와 관련하여 한화오션의 미국 자회사 5곳에 대한 제재를 유예한다고 밝혔다. 유예 대상은 한화필리조선소, 한화쉬핑, 한화오션USA인터내셔널, 한화쉬핑홀딩스, HS USA홀딩스다.
백악관은 지난 1일 발표한 팩트시트에서 "중국은 미국의 해운·물류·조선업 지배력 강화에 대한 301조 조사 발표에 대한 보복 조치를 철회하고 여러 해운 업체에 부과한 제재를 해제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화오션은 이번 유예 조치에 대해 환영의 뜻을 전하며 "이번 유예조치로 인해 중국 측 사업 파트너들과의 관계가 더욱 발전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중국은 지난 10월 14일 미국 무역대표부(USTR)의 301조 조사에 협력했다는 이유로 한화오션의 미국 자회사 5곳을 제재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당시 중국 상무부는 "한화오션 미국 자회사는 미국 정부의 무역법 301조 조사 활동에 협조하고 지지해 중국의 주권과 안보, 발전 이익에 위해를 끼쳤다"며 불만을 드러냈다.
제재의 실효성에 대한 평가도 있었다. 업계 관계자는 "한화오션 자회사들은 투자하려고 거쳐가는 성격으로, 한화쉬핑 정도가 실제적으로 사업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지만 이제 발주한 상황이라 배를 실제로 받아서 운항하려면 시간이 많이 걸린다"며 제재의 영향이 제한적이었다고 분석했다.
한화오션 제재 유예는 미중 간 무역 갈등 완화의 일환으로, 향후 해운·물류·조선업 분야에서의 양국 협력 확대 가능성도 제기된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이재명 대통령과 시진핑 국가주석이 한화오션 제재 문제를 두고 생산적 논의를 했다"며 긍정적인 진전을 기대한다고 언급했다.
사진=한화오션
- 염경엽 재계약, ‘KBO 감독 3년 30억’ 최고 기록
- ‘통계 조작’ 의혹에 부동산 대책 정면충돌…국민의힘·개혁신당 “진상 밝혀라” 민주당 “정쟁 중단해야”
- 트럼프 관세의 운명은? 대법원 심리 시작에 긴장 고조
- ‘YTN 헐값 매각’ 논란에…김민석 총리 “정부 자산 즉시 전수조사 지시”
- 李대통령의 AI 선언…728조 예산으로 ‘미래산업 대전환’ 예고
- '동양레저' 자금운용 논란 법정 간다...강선 대표 ‘친정’에 800억 예치?
- '홈런왕 6회' 박병호, 은퇴 선언...이제는 지도자로
- APEC 정상회의, 경주선언·AI 이니셔티브·인구구조 대응 프레임워크 채택
- LG 트윈스, 2년 만에 KS 왕좌 탈환…김현수 맹타에 ‘V4’ 완성
- 동양레저 강선 대표, 750명 주주 기만 논란...“주주 돈으로 ‘밀실 인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