엡스타인·맥스웰 관련 수사 자료 30일 내 공개, 법안 하원 압도적 통과
트럼프 서명 후 여야 공방 격화, 정계 인사 연루 의혹 재점화

미성년자 성착취범 제프리 엡스타인 관련 자료가 조만간 공개될 전망이다.
미국 연방의회는 지난 18일(현지시간), 엡스타인과 그의 공범 길레인 맥스웰에 대한 모든 기밀 기록과 수사 자료의 공개를 의무화하는 ‘엡스타인 파일 투명성 법안(Epstein Files Transparency Act)’을 하원 찬성 427표, 반대 1표로 통과시켰다. 상원 역시 별도 표결 없이 만장일치로 법안을 승인했다. 이 법안은 대통령 서명을 거쳐 발효되며, 법무부는 법 제정일로부터 30일 이내에 관련 자료를 검색 또는 다운로드할 수 있는 방식으로 공개해야 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다음 날인 19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법안에 서명했음을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민주당원과 엡스타인의 연관성에 대한 진실이 곧 드러나겠다"고 주장하며, 엡스타인이 평생 민주당원이었고 민주당 유명 인사들과 관계를 맺어왔다고 말했다. 동시에 민주당이 엡스타인 파일을 이용해 자신과 공화당의 성과로부터 시선을 돌리려 한다고 비판했다.
이번 법안은 민주당이 트럼프 대통령의 연관성을 부각시키며 추진해온 것으로, 엡스타인과 트럼프 대통령의 과거 친분과 교류에 대한 의혹이 재조명되기도 했다. 민주당 소속 로 카나 하원의원은 트럼프 대통령이 지지 기반을 통제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반면, 트럼프 대통령은 법안 통과 전 공화당 의원들에게 찬성표를 던질 것을 촉구했으며, 이후 민주당 인사들이 엡스타인에게서 돈을 받았다고 주장했다.
공화당은 지방선거 참패 이후 여론의 압박에 직면한 가운데, 이번 법안에 동참하게 됐다. 여론조사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율은 38%로 하락했으며, 응답자의 70%는 트럼프 행정부가 엡스타인 관련 정보를 은폐하고 있다고 믿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엡스타인은 2019년 성범죄 혐의로 체포된 뒤 재판을 기다리던 중 수감 중이던 교도소에서 사망했다. 헤지펀드 매니저 출신의 억만장자였던 엡스타인은 자신의 자택과 별장에서 미성년자를 포함한 여성들을 상대로 성범죄를 저질렀다는 의혹을 받았으며, 이후 엡스타인과 연루된 글로벌 정재계 인사들의 명단이 존재한다는 주장과 함께 자살이 아닌 타살이라는 음모론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엡스타인의 죽음 전까지 공공 행사나 파티 등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자주 함께했던 기록은 트럼프 대통령이 해당 범죄에 연루됐다는 의혹으로 이어졌다. 이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은 관련이 없으며, 민주당의 정치적 공격이라고 반박해왔다.
법무부는 법안의 취지에 따라 엡스타인과 관련된 모든 기밀 문서, 통신 및 수사 기록을 공개하게 되며, 피해자 신원이나 수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정보는 편집 가능하다. 다만 뉴욕타임스(NYT)는 이번 법안에 중대한 예외 조항들이 포함돼 있어 대통령 서명에도 불구하고 모든 자료가 즉시 공개되는 것은 아니라고 보도했다.
엡스타인 파일 공개는 트럼프 대통령의 정치적 입지뿐만 아니라 미국 정계 전반에 새로운 파장을 불러올 것으로 전망된다.
사진=연합뉴스
- 신안 해역서 여객선 좌초 사고..."뉴스 보다가 조타 시점 놓쳐" 일등항해사·조타수 긴급체포
- 웃으며 한 제스처에 담긴 의미는...경기장에 퍼지는 '인종 차별의 그림자'
- 구글, 차세대 AI '제미나이3' 출시… 검색창에 바로 들어온 "역대 가장 똑똑한 모델"
- 오세훈 작심 반박 "국무총리, 광화문 '감사의 정원' 중단...공사 중단 지시는 부당"
- 천안 이랜드 물류센터 화재 사흘째... 완진까지 '최대 일주일' 전망
- 국방부, DMZ 군사분계선 재정비 위해 북한에 군사회담 공식 제안
- [가상자산] 비트코인·이더리움 이후 한 칸 '이것'에 달렸다... 솔라나와 XRP가 노리는 ‘3위 혈투’
- 韓美 조인트 팩트시트 공개 "무역·안보협상 명문화...車관세 15%, 韓핵잠·우라늄농축 지지"
- 뉴진스, 어도어에 전원 복귀 의사…민희진 “선택 존중”
- 울산화력발전소 붕괴, 사망 6명…전문성 부족, 재하도급 구조 도마 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