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취업자 19만 3000명↑·실업자 감소…고령층 고용이 상승세 견인
건설·제조업 감소에도 보건복지·서비스 분야 성장 뚜렷

지난 10월 국내 취업자 수가 전년 동월대비 19만 3000명 증가해 10개월 연속 두 자릿수 성장을 이어갔다.
기획재정부는 지난 12일, 10월 기준 취업자는 총 2904만 명으로 집계됐으며, 15세 이상 고용률은 63.4%로 0.1%p, 15~64세 고용률은 70.1%로 0.3%p 각각 높아졌다고 밝혔다. 경제활동참가율도 64.8%로 0.1%p 상승했다.
이번 달에 15세 이상과 15~64세 고용률, 그리고 경제활동참가율은 모두 10월 기준 역대 1위를 기록했다. 특히 1월부터 10월까지의 누적 수치 역시 동일한 기간 중 최고치를 나타냈다.
실업자 수는 65만 8000명으로 1년 전보다 2만 명 감소했다. 실업률 역시 2.2%로 0.1%p 하락했다.
업종별로는 소비심리가 호전된 영향으로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 분야 취업자가 28만 명 증가했다. 도소매업, 금융·보험, 숙박음식, 예술·스포츠·여가업 등 서비스업 전반에서도 취업자 증가세가 이어졌다.
반면 교육서비스업 취업자는 1만 2000명 증가하는 데 그쳤고, 전문·과학·기술 서비스업은 2000명 감소해 서비스업 전체 증가폭이 다소 축소됐다.
건설업은 긴 명절연휴와 기상 요인으로 12만 3000명 줄었고, 제조업은 5만 1000명 감소했으나, 내수 및 수출 개선으로 감소폭은 완화되는 추세다.
근로 형태별로 보면 상용직은 28만 6000명, 임시직은 7만 9000명 증가한 반면, 일용직은 5만 5000명 줄었다.
연령별 취업자 증감은 60세 이상이 33만 4000명, 30대가 8만 명 늘었으나, 20대는 15만 3000명, 40대는 3만 8000명, 50대는 1만 9000명 각각 감소했다. 청년층 고용률은 44.6%로 1.0%p 하락했지만, '쉬었음' 인구는 40만 9000명으로 6개월 연속 줄어들었다.
정부는 내수경기 확장과 취약분야 보완을 통해 고용 선순환 구조를 지속하고, AI 대전환 및 혁신경제 중심으로 일자리 확대와 청년 일자리 창출에 역량을 집중할 방침이다.
또한, 소비회복 효과가 고용까지 이어지도록 정책을 강화하고, 통상 분야 리스크 관리에도 만전을 기울일 계획이다.
사진=대한민국 정책브리핑
- “가벼움의 대가일까”… 아이폰 에어, 판매 부진 속 후속 연기
- 직장갑질119 “삼성바이오로직스 개인정보 유출, 단순 보안사고 아닌 노동권 침해”
- ‘반포래미안트리니원’ 1순위 청약에 5만 명 몰려…“현금부자들의 로또” 쏠린 시선
- 노만석, 항소 포기 후 첫 출근…사퇴 압박엔 묵묵부답
- 비상계엄 인지하고도 보고 누락…조태용 전 국정원장 구속
- '편의의 이면'... 쿠팡 속도 경쟁의 대가, 새벽배송이 앗아간 30대의 생명
- ‘경찰 개혁’ 전면 재정비…김민석 “수사역량 대폭 강화” 긴급 지휘
- [가상자산] 셧다운 종료 초읽기… TGA 자금 재유입 기대에 비트코인 랠리 가능성 부각
- [기획] 4500원짜리 담배, 세금만 3,323원… '담배값 1만원' 인상되면 세금은 얼마?
- “익명 제보로 사과 강요” 제보에 반박… 런베뮤, “조사해 사실관계 바로잡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