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5대책에 수도권 매수심리 급냉’…주택사업자 경기전망 역대급 하락세

‘주택사업경기 전망지수’ 한달 만에 20.7포인트 급락…서울·경기도 하락폭 커
“규제지역 확대 영향…비수도권도 동반 하락” 분석, 자금조달 지수도 급감

‘10·15대책에 수도권 매수심리 급냉’…주택사업자 경기전망 역대급 하락세 / 사진=연합뉴스
‘10·15대책에 수도권 매수심리 급냉’…주택사업자 경기전망 역대급 하락세 / 사진=연합뉴스

10·15 대책으로 규제지역이 대폭 늘어난 가운데 주택사업자들의 경기 전망이 한 달 새 크게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산업연구원은 13일 전국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11월 주택사업경기 전망지수는 전달에 비해 20.7포인트 떨어진 65.9로 조사됐다.

이 지수가 기준선인 100을 아래로 기록할 경우, 향후 주택 경기를 비관적으로 보는 사업자가 더 많다는 의미다.

수도권 전체의 전망은 전달보다 31.0포인트 하락해 64.1까지 내려갔다. 서울은 71.7로 35.1포인트나 줄었고 경기는 62.8로 32.0포인트, 인천 역시 57.6으로 26.2포인트 각각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주택산업연구원은 10·15 대책 이후 서울과 경기 등 수도권 지역이 규제지역으로 지정되면서 대출 규제가 더 강화됐고, 이로 인해 매수심리가 크게 위축돼 주택사업자들의 부정적 전망이 확산됐다고 분석했다.

비수도권의 전망지수도 18.5포인트 하락해 66.3을 기록한 가운데, 울산이 76.9로 28.6포인트, 대전 71.4로 21.9포인트, 부산 65.0으로 20.7포인트, 세종 83.3으로 16.7포인트, 대구는 66.6으로 10.3포인트 각각 낙폭을 기록했다. 도 지역에서는 강원이 33.3로 44.4포인트, 충북 62.5로 27.5포인트, 전북 66.6으로 25.0포인트 떨어지는 등 전 지역이 하락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주택산업연구원은 이번 10·15 대책의 영향권에 포함되지 않은 부산과 울산 등 지방 광역시를 중심으로 일시적인 회복세가 감지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수도권 규제 강화에 따른 일부 반사이익이 감지된 점도 언급됐다.

전국 자금조달지수는 73.4로 전달 대비 13.1포인트 줄었다. 특히 규제지역 추가 지정으로 조합원 지위양도 제한, 분양 재당첨 제한 등 각종 규제가 가해지면서 정비사업 추진 일정이 늦춰지고 있다. 아울러 강화된 대출규제로 인해 수도권 청약 시장도 위축되는 등 시장 불확실성이 커진 것으로 해석된다.

사진=연합뉴스

관련기사
저작권자 © PPSS ㅍㅍㅅㅅ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