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버스 사고 두고 정치권 공방 격화…민주당 "전시행정 책임" vs 오세훈 "정치공세 유감"

한강버스 사고 두고 정치권 공방 격화…민주당 "전시행정 책임" vs 오세훈 "정치공세 유감" / 사진=연합뉴스
한강버스 사고 두고 정치권 공방 격화…민주당 "전시행정 책임" vs 오세훈 "정치공세 유감" / 사진=연합뉴스

서울 송파구 잠실선착장에서 발생한 한강버스 사고를 둘러싸고 서울시와 정치권의 입장이 정면으로 충돌하고 있다.

사고는 지난 16일 오후 8시 25분께 잠실선착장 인근 100m 지점에서 잠실행 102호 한강버스가 항로를 이탈해 수심이 얕은 강바닥에 걸려 멈추면서 발생했다. 사고 직후 119 수난구조대와 한강경찰대가 현장에 출동해 승객 82명을 선착장으로 이송했으며, 인명 피해는 없었다.

더불어민주당은 이 사고를 두고 오세훈 서울시장의 행정을 강하게 비판했다. 박경미 대변인은 "오 시장의 무능과 근시안적인 행정이 초래한 명백한 인재"라고 규정하며, "한강버스는 '시민의 발'이 아닌 '서울시 행정 난맥상의 상징'으로 전락했다"고 밝혔다. 백승아 원내대변인도 "기본적인 안전 기준도 제대로 갖추지 않고 운항을 강행한 것은 전형적인 전시행정"이라고 비판했다.

민주당은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개통 첫날부터 총 16차례 사고가 있었다"며 운항 중단을 촉구했다. TF 단장 천준호 의원은 "예인선도 없이 운항을 시작해 사고 선박도 아직 인양하지 못했다"며 오 시장의 사과와 재검토를 요구했다. 정청래, 박주민, 전현희, 서영교 의원 등도 SNS와 회견을 통해 잇따라 비판에 가세했다.

서울시는 사고 직후 항로 이탈과 저수심 구간 진입이 직접적인 원인이라고 밝혔다. 특히 우측 항로 표시등의 밝기 부족이 간접적인 원인으로 지목됐으며, 해당 배터리는 사고 이후 교체됐다. 시는 한강버스가 이전에도 정상 항로에서 총 15건의 바닥 접촉 또는 이물질 접촉 사례가 있었다고 밝혔다.

㈜한강버스 김선직 대표는 "지금이 연중 수심이 가장 낮은 갈수기로, 이 같은 수위 저하를 예상하지 못했다"고 해명하며 "정밀 조사를 통해 안전성을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시는 사고 선박을 오는 19일 오후 7시 만조 시각에 인양하고, 한남대교 상류 항로에 대한 안전 점검을 마칠 때까지는 마곡~여의도 구간에서만 부분 운항한다고 밝혔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지난 16일 페이스북을 통해 "시민들께 불안과 불편을 끼쳐드려 송구하다"고 사과했다. 그러나 "안전 문제를 정치 공세의 도구로 삼는 행태는 바람직하지 않다"며 민주당의 비판에 유감을 표시했다. 시는 별도 입장문을 통해 "모든 안전 절차가 정상적으로 작동했고, 외형적 손상도 발견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민주당은 오 시장이 국정감사에서 "별다른 문제가 없다"고 답변한 것을 문제 삼아 위증 혐의 고발을 예고했다. 천준호 의원은 "사흘 전 부표와 정면 충돌한 사고가 있었음에도 이를 숨긴 채 발언했다"고 주장하며 감사원 감사도 요구했다.

한편, 민주당은 오 시장이 추진 중인 세운4구역 재개발 사업에 대해서도 "용적률과 높이 상향은 문화유산을 훼손하는 특혜"라고 지적했다. 한정애 정책위의장은 "종묘의 역사성과 경관 가치를 훼손할 우려가 있다"고 주장했고, 김현정 원내대변인은 "서울시민을 위해 헌신할 새로운 서울시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PPSS ㅍㅍㅅㅅ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