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남은 기간 금리 동결 바람직…위원들 “12월 인하엔 이견”
“지급준비금 충분”…12월 1일부터 대차대조표 축소 중단 공감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내에서 다수의 통화정책 위원들이 다음번 회의인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19일(현지시간) 공개된 의사록을 통해 확인됐다.
의사록에는 상당수 참석자들이 올해 남은 기간 동안 기준금리 수준을 유지하는 편이 맞다는 견해를 제시한 내용이 담겼다.
하지만 일부 위원들은 경제 상황 변화에 따라 12월에는 금리 인하도 고려해야 한다는 상반된 목소리를 낸 것으로 알려졌다.
정량적 표현을 보면, 동결 의견이 인하 의견을 앞섰던 점이 눈에 띈다.
많은 참석자들이 12월 회의를 포함한 향후 정책 결정에서 의견이 엇갈린 만큼, 제롬 파월 의장이 10월 회의 직후 “12월 추가 인하는 당연시할 수 없다”고 밝힌 배경이 됐다는 분석이다.
지난 10월 열린 FOMC에서는 기준금리가 3.75∼4.00%로 0.25%포인트 인하됐으며, 투표권을 쥔 위원 중 상당수는 이 같은 소폭 인하에 동의했다.
그러나 스티브 마이런 이사는 0.50%포인트 인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를 냈고, 제프리 슈미드 캔자스시티 연은 총재는 금리 동결 입장을 내며 분분한 시각을 보였다.
이와 함께, 의사록에는 10월 회의 당시 여러 위원들이 동결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피력한 사실도 기록됐다.
FOMC 의사록에는 투표권이 없는 지역 연방준비은행 총재의 견해도 포함돼 논의의 다양성이 반영됐다.
한편, 10월 회의에서는 ‘거의 모든’ 참석자가 12월 1일부터 연준의 양적긴축(QT) 정책을 중단하는 쪽에 동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참석자들은 지급준비금이 이미 충분한 수준에 도달했거나 그에 근접했다고 평가하면서, 자산 축소 기조를 12월 1일을 기점으로 종료하자는 의견을 밝힌 것이다.
양적긴축은 연준이 채권을 매각하거나 재투자를 중단해 시중 유동성을 흡수하는 정책으로, 양적완화의 반대 개념이다.
연준은 지급준비금 공급이 양적완화기의 풍부한 수준에서 점차 줄어들어 충분한 단계에 근접하면 QT를 마무리하겠다고 밝혀온 바 있다.
시장에서는 최근 미국 단기금리가 연준이 관리하는 연방기금금리를 넘나드는 현상과 함께 단기자금시장 내 불안이 제기되자 QT 종료 가능성에 힘이 실려왔다.
특히, 무위험지표금리(SOFR)가 전통적으로 연방기금금리보다 낮은 수준이었지만 최근 역전 현상이 자주 포착된 점도 이러한 예측을 뒷받침했다.
미 재무부의 단기채 발행 증가 등이 겹치며 단기자금시장의 유동성 부족 현상에 대한 시장 우려가 커진 것으로 평가된다.
사진=연합뉴스
- 구글, 차세대 AI '제미나이3' 출시… 검색창에 바로 들어온 "역대 가장 똑똑한 모델"
- 오세훈 작심 반박 "국무총리, 광화문 '감사의 정원' 중단...공사 중단 지시는 부당"
- 천안 이랜드 물류센터 화재 사흘째... 완진까지 '최대 일주일' 전망
- 국방부, DMZ 군사분계선 재정비 위해 북한에 군사회담 공식 제안
- [가상자산] 비트코인·이더리움 이후 한 칸 '이것'에 달렸다... 솔라나와 XRP가 노리는 ‘3위 혈투’
- 韓美 조인트 팩트시트 공개 "무역·안보협상 명문화...車관세 15%, 韓핵잠·우라늄농축 지지"
- 뉴진스, 어도어에 전원 복귀 의사…민희진 “선택 존중”
- 울산화력발전소 붕괴, 사망 6명…전문성 부족, 재하도급 구조 도마 위
- 검찰총장, 중앙지검장 동시 사퇴…검찰 지휘부 초유의 공백 사태
- “가벼움의 대가일까”… 아이폰 에어, 판매 부진 속 후속 연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