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 가치 헌법 반영’ 필요성 부각…도시민 인식 하락세 지속

농업·농촌 긍정 이미지와 관심도 나란히 하락…세대별 맞춤 전략 요구
“헌법 반영 절실하다”…국가 지원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 확대

‘농업 가치 헌법 반영’ 필요성 부각…도시민 인식 하락세 지속 / 사진=농협중앙회
‘농업 가치 헌법 반영’ 필요성 부각…도시민 인식 하락세 지속 / 사진=농협중앙회

농협중앙회 미래전략연구소가 14일 전국 7개 특광역시 성인 남녀 1,08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5년 농업농촌 도시민 인식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도시민의 농업과 농촌에 대한 관심도는 61.3%로, 2023년보다 18.8%포인트 떨어져 큰 폭의 감소세를 보였다.

농업·농촌에 대한 긍정적 인식 역시 77.0%로 집계되며, 전년 대비 6.8%포인트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농촌에 거주한 경험이 없거나 가족 중 농촌 거주자가 없는 40대 응답자 그룹에서 관심도 하락이 두드러진 것으로 분석됐다.

국산 농축산물이 건강에 더 좋다는 인식은 54.2%로 연초 대비 8.7%포인트 줄었으며, ‘품질이 우수하다면 국산이나 수입산 구분 없이 구매하겠다’는 응답 비율도 39.4%로 떨어져, 경제성에 무게를 두는 소비 성향이 더욱 강해지고 있음을 보여줬다.

식량안보와 관련해 ‘불안하다’는 응답 비율이 34.4%에 달해, ‘안전하다’는 의견(23.7%)보다 높았고, 기후위기 및 국제 정세 불확실성이 이러한 인식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

도시민들의 농업·농촌에 대한 관심과 국산 농축산물에 대한 신뢰가 전체적으로 감소한 결과는 농가 경영의 불확실성과 농촌 소멸 위기와 맞물려, 국가적 지원 정책의 명분을 흔들 수 있다는 우려를 낳았다.

연령별 조사 결과, 세대 간 농업 경험과 인식 수준의 격차도 현저하게 드러났다.

이에 따라 농협은 경험이 부족한 세대와 청소년을 대상으로 농업의 공익적 가치 홍보를 강화하고, 체험 및 교육 중심의 ‘농심천심운동’ 등 맞춤형 전략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정부의 제1호 국정과제인 헌법 개정 논의와 연계해 농업의 공익적 역할을 헌법에 담아야 한다는 주장도 힘을 얻고 있다.

실제로 ‘공익적 기능 강화를 위해 국가의 지원이 요구된다’는 의견이 80.0%였으며, ‘헌법 반영 필요’ 응답도 53.5%에 달해 국민적 공감대가 확인됐다.

농협중앙회는 앞서 2017년에 이어 농업가치를 헌법에 포함시키려는 새 범국민 운동 추진 계획을 알리며, 농업의 사회적 가치 확산에 총력을 다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냈다.

사진=농협중앙회

관련기사
저작권자 © PPSS ㅍㅍㅅㅅ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